푸르는 날의 엽서

    사막의 장미속(砂漠 薔薇屬, Adenium), 봉퇴수속(棒槌樹屬, Pachypodium), 계단화속(鷄蛋 花屬, Plumeria)

사막의 장미(砂漠薔薇)

사막의 장미(砂漠薔薇)
Adenium obesm

사막의 장미(砂漠薔薇)

사막의 장미(砂漠薔薇)

사막의 장미(砂漠薔薇)

사막의 장미(砂漠薔薇)

창각전

창각전

푀티다

푀티다

푀티다
Dorstenia foetida

포도담쟁이 "멕시카나"
Cissus tuberosa

천마공(天馬空)
P. succulentum

화성인(火星人)
Fockea edulis

화성인(火星人)

개미식물
Hydnophytum formacarium

천마공(天馬空)
P. succulentum

패왕수(覇王樹, 라메리)
"사막의 야자"

P. lamerei

만물상(万物想)
Tylecodon reticulatus

만물상(万物想)

심플리치폴리아
Bursera simplicifolia

심플리치폴리아

패왕수 철화

패왕수 철화

그락실리스
P. gracilius

그락실리스

그락실리스

호롬벤세
P. horombense

호롬벤세

렐리
P. lealii

쥐손이풀과(Geraniaceae)

광당(光堂)
P. namaquanum

백마성(白馬城)
P. saundersii

포도귀(葡萄龜)

단애여왕(斷崖女王)
Rechsteineria leucotricha

혜비수소(惠比壽笑)
P. brevicaule

멕시코 소철
Zamia furfuracea

로술라툼
P. rosulatum

로술라툼

로술라툼

로술라툼

로술라툼

로술라툼

Pachypodium brevicaule

Pachypodium densicaule

Pachypodium densicaule

 

혜비수소(惠比壽笑)
P. brevicaule

혜비수소(惠比壽笑)

혜비수대흑(惠比壽大黑)
P. densicaule

혜비수대흑

 

인삼대극

 

 

 

 

계단화(鷄蛋花)
Plumeria acuminata

 

 

 

 

 

 

 

마과(麻科, 薯藷科, Dioscoreaceae)

  귀갑룡속(龜甲龍屬, Dioscorea)

귀갑룡(龜甲龍)
D. macrostachya

귀갑룡

"멕시코" 귀갑룡

"멕시코" 귀갑룡

귀갑룡(龜甲龍)

귀갑룡(龜甲龍)

 

<출처: 비단선인장 http://www.cactus.or.kr/)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

 RS Choi의 선인장 정원/줄기하부나 지하부가 비대한 식물/협죽도과 (夾竹桃科, Apocynaceae)                                  

    사막의 장미속(砂漠 薔薇屬, Adenium), 봉퇴수속(棒槌樹屬, Pachypodium), 계단화속(鷄蛋 花屬, Plumeria)

협죽도과(夾竹桃科, Apocynaceae)

사막의 장미속(砂漠 薔薇屬, Adenium) , 봉퇴수속(棒槌樹屬, Pachypodium) , 계단화속(鷄蛋 花屬, Plumeria)

협죽도과(夾竹桃科, Apocynaceae ) 사막의 장미(砂漠 薔薇, Adenium )속

아프리카 동부 나미비아에 15종 정도가 자생. 기부가 매우 큰 괴근성으로 저온에 약하므로 연중 10°C이상을 유지
♠ 형태 : 다육성의 관목으로 가지 선단에 산방화서(散房花序)로 개화한다. 속명은 자생지의 한 곳인 아덴(Aden)에서 유래한다. 우기에는 잎이 있고 개화하나, 건기에는 낙엽이 지고 휴면에 들어간다. 겨울에 건조하면 휴면에 들어가나 8℃ 이상을 보존하면 잎도 있고 개화도 계속된다. 오베섬(A. obesum)은 아라비아에서 동아프리카에 걸쳐 15종이 널리 분포한다. 차례로 장기간에 걸쳐 개화하므로 열대에서는 정원과 가로에 많이 심는다. 줄기의 기부가 부풀어올라 있는 모습이 특이하여 관상대상이 된다. 꽃색에도 변이가 있고 잎에 흰색 반잎이 들어 있는 것과 극왜성인 변이개체도 있다. 과실은 길이 30cm 정도이고 많은 종자를 포함하고 있는데 좀처럼 결실하지 않는다. 스와지쿰(A. swazicum)은 아프리카 남부에 자생하는 종이다.
♠ 광과 온도 : 광도가 높고 공중습도가 낮은 것이 생육에 좋다. 10℃ 이상에서 월동하며 생육적온은 18℃ 이상이다. 30℃에서도 고온장해는 없다.
♠ 용토 : 배수가 잘되는 것이 좋다. 모래 6, 퇴비 2, 버미큘라이트 1, 산흙 1의 배합토가 적합
♠ 시비 : 추비를 중심으로 하여 유기화학비료를 10ℓ에 20g〔N(5)-P(5)-K(5)〕과 퇴비를 약간 준다
♠ 물관리 : 습한 것은 싫어하며 건조하게 키운다. 봄, 가을에는 2일에 1회, 겨울에는 3∼4일에 1회 관수한다
♠ 번식 : 취목,삽목으로 번식시키는데 실생이 아니면 줄기 기부가 부풀어 오르게 키울 수 없다.
♠ 병충해 : 응애와 진딧물을 특별히 방제해야 한다.
 

사막의 장미 [Desert Rose]-Adenium obesum 

♠ 분포 : 아프리카 동부에서 아라비아 남부(케냐, 탄자니아, 짐바브웨) ※ 자생지 평균온도: 12°C
♠ 형태 : 꽃이 매우 아름다운 종으로 기부가 비대한 항아리형을 한다. 높이 1.5m까지 성장.
             잎은 광택이 나며 길이 3~10cm, 폭 2~3cm.
♠ 재배 : (내한력) 1°C. ※ 4°C이하일 때 줄기 끝이 오그라든다. (생육적온) 12°C~35°C
             비교적 쉬운 종이나 저온에 약한 것이 흠이며, 휴면기(겨울) 관수로 죽이는 경우가 많다.
             일정나이에 도달하면 잎이 (겨울철 휴면기) 떨어지므로 이시기엔 항상 10°C이상을 유지하고,
             건조하게 관리. 잎이 떨어지는 것은 꽃을 피우기 위한 필연과정.
♠ 물주기 : 뿌리가 매우 약한 종으로 배수가 매우 원활한 용토에 심어 관리.
                겨울 휴면기엔 매우 건조하게 관리.
♠ 광 : 많은 햇빛(직사광선)을 받게 관리. 그러나 고온하에서 과다 급수를 하면 탄저병으로 잎이 진다.
♠ 꽃 : (화경) 3~4cm의 깔떼기모양으로 진홍색, 백색, 분홍색. 따뜻한 곳에서는 연중 개화.
♠ 번식 : 종자나 삽목. 줄기삽목시 씨앗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못하고 기부가 비대하지 않는다.
♠ 기타 : 협죽도와 마찬가지로 수액이 유독성을 띠므로 취급에 유의
           *** 사막의 장미 구매시 식물체 줄기가 견실(튼튼함)한지 확인하고 선택***

Adenium obesum ssp. boehmianum

나미비아와 앙골라에 자생하는 사막의 장미 아종인 보에미아넘은 "lis impala"로 2m까지 자라는 관목형 다육식물. 본 종은 사막의 장미속중 잎이 가장 긴 식물로 길이는 10~15cm. 중앙이 자줏빛이면서 가장자리가 분홍인 꽃이 핀다.

 

Adenium obesum ssp. multiflorum

♠ 분포 : 남아프리카 북동쪽 짐바브웨
♠ 형태 : 기본종 만큼 줄기가 비대하지 않으며 높이가 다소 낮다. 모든 아종중 가장 아름다운 꽃이 피는데, 가장자리가 붉고 안쪽으로 별모양의 깨끗한 흰색이 일년에 한번씩만 개화. 화경은 3cm정도. 꽃을 보기 위해선 식물을 건조하게 관리해야 한다.

 

Adenium obesum ssp. obesum "사막의 장미"

♠ 분포 : 이베리아 반도 남부, 나탈, 탄자니아.
♠ 형태 : 채색은 녹회색이며, 수미터까지 자라 수 있는 대형종이다. 잎은 계란형으로 3~10 cm

 

Adenium obesum ssp. oleifolium

♠ 분포 :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남동부와 보스타와 남부
♠ 형태 : 잎 길이는 10cm, 폭은 1.5cm정도로 백분이 덮혀있고, 잎색은 녹회색. 꽃은 어두운 연분홍

 

Adenium obesum ssp. socotranum

♠ 분포 : 소코트라섬
♠ 형태 : 사막의 장미속중 대형에 속하며 줄기는 원추형

 

Adenium obesum ssp. somalense

♠ 분포 : 아프리카 동부(東部) Aden만의 소말리아
♠ 형태 : 원추형의 괴근을 형성. 다 자랐을 때 높이는 3m

 

Adenium obesum ssp. swazicum

♠ 분포 : 남아프리카 스와질랜드
♠ 형태 : boehmianum종과 흡사하지만 폭이 좁고 길이가 1~3cm정도로 짧다. 꽃은 어두운 분홍~적색

 

 

협죽도과(夾竹桃科, Apocynaceae) 봉퇴수속(棒槌樹屬, Pachypodium)

주 자생지가 남아프리카 마다카스칼인 파키포디움속은 지하부가 괴근성으로 20종 이하의 작은 다육식물 그룹으로 모양새를 빗댄 "꼬끼리 발"이나 "거북" 등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종이 관목형으로 성장하나 몇몇 종은 키가 6m나 되는 수목형으로 자라기도 한다. 본 속은 형태에 있어 아데니움과 비슷하나 가장 특징적인 차이는 강한 가시가 줄기를 뒤덮는 것이다. 희랍어로 Pachypodium은 "두터운 발"이란 뜻을 가진다. 본 속의 식물은 10년이상 성장해야만 꽃을 피우며, 번식은 봄이나 여름에 씨앗을 통해 이루어 진다.
♠ 재배 : 성장이 느린 다육식물로 비료성분이 적고 배수성이 좋은 배양토에 심어 관리
♠ 물주기 : 보통 지하부가 비대한 다육식물은 강수량이 적은 곳에서 자생하여, 수분을 저장할수 있는 능력이 탁월하다. 따라서 물을 너무 자주 주면 수분과잉이 되어 뿌리 썩음은 물론 줄기가 말라 결국은 고사하고 만다.

Pachypodium baronii

♠ 분포 :아프리카 마다카스칼. (생육적온) 12℃ ~35℃.
♠ 형태 : 높이 2~3m, 폭 60cm로 넓고 둥근 잎을 가진다.
♠ 꽃 : 늦은 봄에 암적색의 꽃이 핀다.
♠ 물주기 : 휴면기 11월~3월에는 단수하고 이외는 규칙적으로 관수. 저온 장해에 주의.
♠ 재배 : 성장이 느린종에 속한다. 비료성분이 적고 배수성이 좋은 배양토에 심어 관리. 분갈이를 자주 해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번식) 봄~여름에 종자번식

Pachypodium bispinosum

♠ 분포 : 아프리카 남부 (Port Elizabeth). (내한력) 영상 4°C (생육적온) 12℃ ~35℃. (광) 반그늘~강광
♠ 형태 : 괴근 형성이 뛰어나고, 곁가지가 많이 나오는 중형종으로 (높이) 1.2m (줄기 직경) 30cm.
             잎은 타원형이면서 길쭉한데 길이는 10~12cm.
♠ 꽃 : 늦은 봄에 연분홍의 꽃이 핀다.
♠ 물주기 : 휴면기 11월~3월에는 단수하고 이외는 규칙적으로 관수. 저온 장해에 주의.
♠ 재배 : 성장이 느린종에 속한다. 비료성분이 적고 배수성이 좋은 배양토에 심어 관리. 분갈이를 자주 해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번식) 봄~여름에 종자번식
 

혜비수소(惠比壽笑) Pachypodium brevicaule
♠ 분포 : 마다카스칼 남부 (생육적온) 12℃ ~35℃ (자생지 평균온도) 4°C (광) 반그늘~강광
♠ 형태 : 높이 15cm. 폭 30cm크기의 괴근성으로 채색은 밝은 회록색.
             줄기가 없어 몸체 자체에서 곁가지가 발생.
♠ 꽃 : 초봄에 황색
♠ 물주기 : 최저 온도 유지시 일년내내 성장하는 종으로 소량의 물을 규칙적으로 관수(최저 수분 유지).
♠ 재배 : 비료성분이 적고 배수성이 매우 좋은 배양토에 심어 관리. 분갈이를 자주 해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번식) 봄~여름에 종자번식
 

Pachypodium decaryi

♠ 분포 : 마다카스칼. (생육적온) 12℃ ~35℃.
♠ 형태 : 높이 120cm 폭 30cm의 중형종으로 잎이 크다. 몸체는 맥주병 형상을 하며, 채색은 회록색.
♠ 꽃 : 늦은 봄에 백색의 꽃이 핀다.
♠ 물주기 : 비교적 강수량이 여유 있는 곳에서 자생하므로, 일년내내 적당한 수분을 유지해 준다.
♠ 재배 : 비료성분이 적고 배수성이 매우 좋은 배양토에 심어 관리. 분갈이를 자주 해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번식) 봄~여름에 종자번식
 

Pachypodium densiflorum

♠ 분포 :마다카스칼. (생육적온) 12℃ ~35℃. (광) 반그늘~강광 (내한력) 저온에 약한 종이다.
♠ 형태 : 높이 60cm 폭 30cm의 괴근성 관목형으로 잎이 작은 편이다. 본 종은 혜비수소(惠比壽笑)와 흡사해 전문가들도 구별하기 어려운 종에 속한다.
♠ 꽃 : 이른 봄에 황색의 꽃이 핀다.
♠ 물주기 : 비교적 강수량이 여유 있는 곳에서 자생하므로, 일년내내 적당한 수분을 유지해 준다. 단, 잎이 있을 경우에만 관수
♠ 재배 : 비료성분이 적고 배수성이 매우 좋은 배양토에 심어 관리. 분갈이를 자주 해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번식) 봄~여름에 종자번식
 

아아상계(阿亞相界)[게아이]-Pachypodium geayi

♠ 분포 :마다카스칼. (생육적온) 12℃ ~35℃. (광) 반그늘~강광
♠ 형태 : 높이가 4m에 이르는 대형종으로 지하부는 비대하다. 잎의 길이는 30~40cm에 이르나, 작은 묘일 때에는 5~10cm 정도. 가시의 길이는 3~4cm이고 바늘 모양으로 3개.
♠ 꽃 : 1.8m정도 자라야 노란 줄무늬가 있는 백색 꽃이 여름에 피며, 만개한 꽃에는 향기가 난다. 개화전까지는 외줄기로 자란다.
♠ 재배 : 배수가 잘되고, 통기성이 좋은 배양토에 심어 재배. 다른 식물과 달리 분갈이를 자주해 주지 않아도 되는 식물이다. 가급적 많은 햇빛을 받게 해야 하며, 충분히 쪼여주지 않으면 웃자란다. 휴면기 즉, 영하 -9°C정도에서 잎이 지는 습성을 갖는다.
♠ 물주기 : 영상 12℃이상만 유지 된다면 일년내내 성장하는 종으로 적은 양이나마 수분유지에 힘쓴다.
                단, 낙옆이 졌을 때는 건조하게 관리.
♠ 병충해 : 깍지벌레의 분비물에 의해 표면이 검게 변색될 우려가 있다.
(번식) 봄~여름에 종자나 삽목번식
 

Pachypodium griquense

♠ 이명 : Pachypodium succulentum var. griquense
♠ 분포 : 남아프리카. (생육적온) 12℃ ~35℃. (광) 반그늘~강광 (내한력) 저온에 약한 종이다.
♠ 형태 : 낙엽성의 관목형 또는 수목형으로 지하부가 비대하다.
♠ 재배 : 배수가 잘되고, 통기성이 좋은 배양토에 심어 재배. 다른 식물과 달리 분갈이를 자주해 주지 않아도 되는 식물이다. 가급적 많은 햇빛을 받게 해야 하며, 충분히 쪼여주지 않으면 웃자란다. 휴면기 즉, 영하 -9°C정도에서 잎이 지는 습성을 갖는다.
♠ 물주기 : 영상 12℃이상만 유지 된다면 일년내내 성장하는 종으로 적은 양이나마 수분유지에 힘쓴다.
                단, 낙옆이 졌을 때는 건조하게 관리.
♠ 병충해 : 깍지벌레의 분비물에 의해 표면이 검게 변색될 우려가 있다.
(번식) 봄~여름에 종자번식
 

 

패왕수(覇王樹)[사막의 야자 or 마다카스칼 야자]- Pachypodium lamerei(파키포디움 라메리)

♠ 이명 : Pachypodium champenoisianum, Pachypodium menabeum, Pachypodium ramosum
♠ 분포 : 마다카스칼. (생육적온) 12℃ ~35℃. (광) 반그늘 (내한력) 저온에 약한 종이다.
♠ 형태 : 키가 2.4m이상으로 기둥몸체는 회백색인데 줄기는 굵고 긴 가시로 둘러 쌓인 낙엽성 다육식물로 아랫부분은 직경 60cm 정도까지 비대한다. 줄기 상층부에만 잎이 나 있어 마치 사막의 야자처럼 보이는 식물이다.

사막의 야자의 돌연변이종으로 밑둥치의 모습이

줄기에 난 3개의 가시는 한조를 이루어 여느 식물에 비해 신비로운 종으로 많은 매니아들로부터 사랑을 받는 품종이다. 아아상계와 비슷하나 암녹색의 잎은 폭이 넓고 색도 밝다
♠ 물주기 : 영상 12℃이상만 유지 된다면 일년내내 성장하는 종으로 적은 양이나마 수분유지에 힘쓴다.
                여름철 직사광선을 많이 보는 조건이라면 충분한 물공급과 함께 가을까지는 옥외재배도 가능.
                단, 낙옆이 졌을 때는 건조하게 관리.
♠ 재배 : 배수가 잘되고, 통기성이 좋은 배양토에 심어 재배. 다른 식물과 달리 분갈이를 자주해 주지 않아도 되는 식물이다.
광 : 직사광선을 좋아하지만, 반그늘에서도 잘 자란다. 가급적 많은 햇빛을 받게 해야 하며, 충분히 쪼여주지 않으면 웃자란다. 휴면기 즉, 영하 -9°C정도에서 잎이 지는 습성을 갖는다..
♠ 꽃 : 흰색의 아름다운 꽃이 핀다.
♠ 번식 : 기부에서 자라는 자주를 떼내어 번식. 삽목시 식물의 중간부위를 잘라낸 후 보름정도 말린 후 화분에 심어 번식

레아리(Pachypodium lealii)

높이 6m까지 자라며 잎의 크기는 8cm 정도이며 잎폭은 4cm이고 꽃의 크기는 2-3cm정도이고 방향성의 식물이다.
 

광당(光堂) [코끼리 코]-Pachypodium namaquanum

♠ 분포 :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광) 반그늘~강광
♠ 형태 : 관목 혹은 작은 수목형으로 3m까지 느리게 자란다.
♠ 물주기 : 본 속의 다른 종과는 달리 나마쿠아넘은 성장기가 8월에서 11월로 이 기간동안 규칙적인 관수를 행한다. 이 시기외에는 최저 수분을 유지 할 수 있도록 관수
♠ 꽃 : 본 종은 6년정도 자라야 만, 꽃을 볼 수 있다.
♠ 번식 : 종자번식

통접청(筒蝶靑)[호롬벤세]-Pachypodium rosulatum v. horombense

♠ 분포 : 마다가스칼
♠ 형태 : 낮은 나무모양으로 가지가 비후하고 가시도 굵다. 화경은 4cm에 이르며 화통은 넓고 커서 볼만한 가치가 있다. 잎은 3~5cm이며 폭 2cm 정도

 

 

백마성(白馬城)[]-Pachypodium saundersii

♠ 이명 : Pachypodium lealii ssp. saundersii
♠ 분포 : 남아프리카, 짐바브웨 (광) 반그늘~강광
♠ 형태 : 곤봉모양의 기부가 넓은 줄기에 많은 곁가지가 직립하며 녹색의 잎이 4~8cm 길이인 Pachypodium lealii와 유사하나 줄기가 길다.♠ 꽃 : 흰색에 적색 줄무늬 꽃이 늦여름에 핀다.
♠ 재배 : 성장이 매우 더딘 종으로 높이 60~120cm까지 자란다.
♠ 물주기 : 영상 12℃이상만 유지 된다면 일년내내 성장하는 종으로 적은 양이나마 수분유지에 힘쓴다. 단, 낙옆이 졌을 때는 완전단수
♠ 번식 : 봄에 종자번식

천마공(天馬空,友玉) Pachypodium succulentum
♠ 분포 : 아프리카.
♠ 형태 : (폭) 20~25cm, (높이) 4.5m의 지하부가 비대한 낙엽성 중형종으로 채색은 갈색.
♠ 꽃 : 늦은 봄에 화경 3cm크기의 옅은 분홍색이 깃든 하얀 꽃이 핀다.(중앙부는 진홍색) . (생육적온) 12℃ ~35℃.
♠ 물주기 : 영상 12℃이상만 유지 된다면 일년내내 성장하는 종으로 적은 양이나마 수분유지에 힘쓴다. 단, 낙옆이 졌을 때는 완전단수
♠ 재배 : 배수가 잘되고, 통기성이 좋은 배양토에 심어 재배. 괴근을 갖는 다육식물은 다른 식물과 달리 분갈이를 자주 해주지 않아도 된다. 좋은 괴근 형성을 위해서는 건조하게 관리해야 한다.
♠ 번식 : 봄에 종자번식

계단화(鷄蛋花) []-Plumeria acuminata

♠ 분포 : 멕시코 카리브해 연안 (생육적온) 8℃ ~35℃.
♠ 형태 : 8m 정도의 나무모양으로 자라며 녹색의 잎은 길이가 30~40cm에 이른다.
♠ 꽃 : (화경) 8~10cm, 초여름~가을에 황백색 꽃에는 향기가 난다. 개화후 2~3개의 가지가 개화지 끝부분으로부터 발달한다.
♠ 물주기 : 잎이 떨어지지 않을 온도(8℃)에서는 적당한 수분이 항상 유지 되어야 한다. 웃자라지 않게 햇볓을 충분히 쬐여야 한다.
♠ 재배 : 건강한 종에 속한다.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흙에 어느정도의 보습을 유지 할 수 있는 배양토 사용.

 

마과(麻科, 薯藷科, Dioscoreaceae ) : 귀갑룡속(龜甲龍屬, Dioscorea )

귀갑룡(龜甲龍)[]- Dioscorea elephantipes

♠ 분포 : 남아프리카 (생육적온) 5℃ ~35℃
♠ 형태 : 몸체가 커짐에 따라 균열 되는 모습이 거북이 등 껍질과 흡사해 붙여진 이름이나, 아프리카에서는 코끼리 발, 또는 코끼리와 연상되는 형체를 갖춘다하여 "꼬끼리 발"이라 부르고 있다. 구경이 1m크기의 코르크질 구근은 반구형 또는 피라미드형으로, 원주민들은 식용으로 사용한다. 생장기에 덩굴이 발생하며 하트형의 잎이 달린다.
♠ 광 : 강한 광선하에서 자라는 종이나, 8cm이하의 구근은 가급적 반그늘에서 관리
♠ 재배 : 재배가 무난한 편이지만 배수가 잘되고 깊고 넓은 화분에 심어야만 건강한 성장을 한다.
♠ 물주기 : 휴면기인 한 여름을 제외하고는 연중 일정량의 수분이 필요하다. 과도한 관수는 구근을 부패시킨다.
♠ 꽃 : (화경) 직경 4mm, 황록색 꽃에는 약간의 향기가 난다.

 

 


<출처: 비단선인장 http://www.cactus.or.kr/)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

RS Choi의 선인장 정원/줄기가 다육인 식물/박주가리과 (蕪薏科, Asclepiadaceae)                                               

구무의속(球蕪薏屬, Brachystelma), 수우장속(水牛掌屬, Ceropegia), 적등화속(吊燈花屬, ?), 수안연속(樹眼蓮屬, Dischidia),
옥우각속(玉牛角屬, Duvalia), 고과장속(苦瓜掌屬, Echidnopsis), 여배각속(麗杯角屬, Hoodia), 구란속(球蘭屬, Hoya), 검룡각속(劍龍 角屬, Huernia),
육산호속(肉珊瑚屬, Sarcostemma), 국장속(國章屬, Stapelia), 여종각속(麗鐘角屬, Tavaresia), 아라한속(亞羅漢屬, Trichocaulon),
Caralluma, Cynanchum, Edithcolea, Orbea, Pseudolithos, Rhaphionacme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

쌍떡잎식물 통꽃류 용담목의 한 과. 전 세계에 100속 1,700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5속 10종이 자란다. 나도은조롱, 박주가리, 백미꽃 따위가 있다. ≒나마과.
이 과의 식물들은 대부분 유즙이 나오고 꽃은 꽃잎 5장이 합쳐졌으며 열매는 꼬투리처럼 생겼고 씨는 털로 덮여 있다. 부드러운 털이 달린 씨는 꼬투리 밖으로 나와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 각 꽃들의 암술과 수술은 하나로 합쳐져 있다. 꽃가루는 꽃가루덩이[花粉塊]를 만드는데, 꽃가루덩이는 암술머리에 퍼져 있는 조직으로서 꽃을 찾는 곤충의 머리나 몸에 달라붙어 다른 꽃으로 옮겨진다. 어떤 종들은 번식력이 낮아서 꽃은 많이 피지만 열매를 거의 맺지 않는 경우도 있다.

 

구무의속(球蕪薏屬, Brachystelma), 수우장속(水牛掌屬, Ceropegia), 적등화속(吊燈花屬, ?), 수안연속(樹眼蓮屬, Dischidia), 옥우각속(玉牛角屬, Duvalia), 고과장속(苦瓜掌屬, Echidnopsis), 여배각속(麗杯角屬, Hoodia), 구란속(球蘭屬, Hoya), 검룡각속(劍龍 角屬, Huernia), 육산호속(肉珊瑚屬, Sarcostemma), 국장속(國章屬, Stapelia), 여종각속(麗鐘角屬, Tavaresia), 아라한속(亞羅漢屬, Trichocaulon), Caralluma, Cynanchum, Edithcolea, Orbea, Pseudolithos, Rhaphionacme, Asclepias , Fockea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아스클레피아스( Asclepias )속

높이는 1미터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이다. 꽃은 산형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방추형이며 종자에 털이 있다.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서 80여 종이 자란다. 아스클레피아스 시리아카(Asclepias syriaca)와 아스클레피아스 쿠라사비카(Asclepias curassavica)는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북아메리카산 아스클레피아스 투베로사(Asclepias tuberosa)는 밝은 오렌지색 꽃이 핀다.

※ 밀크위드 솜(milkweed floss)
북아메리카에서 자라고 있는 아스클레피아스 시리아카(Asclepias syriaca)와 아스클레피아스 잉카르나타(Asclepias incarnata)의 종자섬유를 "밀크위드 솜"이라 칭한다.

솜은 부드럽고 물에 뜨며 광택이 나는데,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며, 각 섬유가 길이 약 1~3㎝, 지름 20~50㎛ 정도이다. 솜이 들어 있는 씨꼬투리를 기계로 가공하거나 돌려서 씨에 달라붙어 있는 섬유를 분리해낸다. 섬유에는 기름 성분과 나무에 많은 리그닌이 들어 있는데, 리그닌 때문에 실을 자을 때 부서지기가 쉽다. 솜은 구명 재킷, 구명대와 같은 수중안전장치를 만드는 데 쓰이며 자신의 무게보다 30배 지탱하며 물에 떠 있을 수 있다. 또한 실내 장식용품의 속이나 절연재로도 쓰인다. 다른 유사한 종자섬유처럼 베지터블 실크(vegetable silk)로 부르기도 한다.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수우장(水牛掌屬, Ceropegia )속

오스트리아, 아시아, 서인도, 서아프리카에 걸쳐 160여종이 자생하는 수우장속은 줄기가 다육인 것, 또는 괴경이 다육인 식물로 잎 대신에 여러개의 다육화된 줄기가 있다. 속명 수우장 Ceropegia는 왁스 통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 일반적으로 괴경을 갖는 다육식물은 물빠짐이 매우 원활한 용토에서 잘 자라나 재배하기가 그다지 쉽지 않은 식물로 반그늘과 영상 10도이상 유지한 상태에서 규칙적인 관수가 필요. 또한 덩굴식물은 가뭄에도 잘 견디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서 관리한다.
♠ 광과 온도 : 생육적온은 20~25℃이며 겨울철에 최저온도를 15℃ 이상으로 유지하면 계속 신장시킬 수 있다. 내한성이 강한 편이므로 용토를 건조시키면 5~7℃에서 월동한다.
♠ 용토 : 배수가 잘되고 유기물이 풍부한 것을 사용한다.
♠ 시비 : 2년에 1회 분갈이를 하며 이때 용토 1ℓ당 2g 정도의 화학비료를 넣거나 생육기에 월 2~3회 액비를 준다. 과다한 비료는 금물.
♠ 물주기 : 잎이 다육질이기 때문에 과잉 관수를 피해야 하는 것이 재배상의 가장 중요한 요점이다. 특히 겨울까지는 관수횟수를 더 줄인다. 수분이 지나치면 식물체가 죽지는 않더라도 활력이 떨어지고 잎색이 퇴색된다. 또한 온도가 20℃ 전후일 때 습도가 높으면 잎이 부패하기 쉬우므로 환기를 잘해야 한다.
♠ 번식: 삽목으로 하는데 모주의 줄기를 한마디씩 잘라 분에 꽂으면 된다. 온도가 17℃ 정도이면 연중 어느 때나 삽목이 가능하다. 삽목 용토는 피트모스, 퍼라이트, 버미큘라이트를 같은 양으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2주 정도 지나면 뿌리가 내리고 1개월이 되면 덩이줄기 뿌리가 나온다.
♠ 병해충 : 20℃ 전후 온도가 높을 때 잎이 부패하기 쉬우므로 통풍이 좋도록 하면서 정기적으로 살균제를 살포한다. 가루깍지 벌레가 발생한다.

 

심엽구란(心葉毬蘭, 愛之蔓) [묵주 덩굴, 러브 체인]- Ceropegia woodii (세로페지아 우디)

Ceropegia linearis ssp. woodii

♠ 이명 : Ceropegia barbertonensis, Ceropegia linearis var. woodi, Ceropegia barbertonensis, Ceropegia euryacme, Ceropegia schoenlandii
♠ 분포 : 남아프리카 케이프주에서 짐바브웨 (내한력) 영상 10℃ 전후 (생육적온) 10~35℃
♠ 형태 : 지름 0.5∼1mm의 가느다란 줄기를 가진 덩굴성의 다육식물로, 흘러 내리며 자라는 아기자기한 잎들이 매혹적이어서 걸이화분에 심어 키우거나 키가 높은 화분에 심어 선반이나 키가 있는 가구위에 올려놓고 키우면 아주 좋은 장식효과를 낸다. 잎은 대생으로 나며, 길이 1.5∼2cm의 하트형. 기부에는 작고 둥근 알뿌리가 있어 줄기가 지면에 닿으면 마디에서 뿌리를 내어 괴근을 만든다. 줄기에 규칙적인 간격을 띠면서 마주보며 달리는 조그만 하트 모양의 잎 위쪽엔 은회색의 얼룩 무늬가 있으며 아래쪽은 자주색을 띤다
♠ 재배 : 매우 강건한 종으로 건조에도 잘견디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모래질과 비옥한 부엽토를 혼합한 용토에서 잘 자라는 경향이 있다
♠ 광 : 반그늘. 즉, 통풍이 잘되고, 직사광선이 직접 닿지 않는 밝은 장소에서 두어야 잎이 거칠어지지 않고 싱싱한 잎을 볼 수 있다.

♠ 물주기 : 겨울철엔 건조하게 여름철엔 충분히 관수. 극한 가뭄에 잘견디는 습성을 감안 화분의 겉흙이 마르고 속흙까지 어느정도 말라들어갈 무렵 관수한다. 줄기의 생장이 둔한 겨울동안에는 다른 계절보다 상대적으로 물 주는 양을 줄여주면서 약간 건조한 듯 하게 관리한다.
♠ 꽃 : 화경 2.5cm 정도의 통모양인 갈색 꽃이 겨울에 개화
♠ 번식 : 줄기에 붙어 있는 알뿌리 꺽꽂이.
♠ 거름 : 거름이 별로 필요하지 않는 식물이나 성장기인 봄철에 분위에 고형비료를 올려놓아 물줄때 조금씩 녹아내리게 하면 생육이 좋아진다.
♠ 분갈이 : 묽은 뿌리가 화분속에 가득차면 영양부족과 배수불량으로 식물이 약해지므로 2년마다 큰 화분에 새로운 배양토를 만들어 다시 심는다.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구란(球蘭屬, 호야 Hoya )속

덩굴성 다육식물로 줄기는 갈색이고, 기근(氣根)을 내며, 나무와 뼈 등에 달라붙어 성장. 잎은 마주나고 짧은 자루가 있으며, 달걀꼴이나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한 다육질이며 광택이 있다깨끗하고 깔끔한 모양 때문에 인기가 높다. 꽃은 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꽃자루가 나와 산형꽃차례를 이루고 반구상으로 달리며 향기가 있다. 꽃잎은 흰색으로 별모양이고 중심부는 담홍색이며 광택이 있으므로 아름답다. 옥접매( Hoya carnosa)와 얼룩옥접매( Hoya carnosa var. varegata)가 관엽식물로 인기가 있다. 재배가 비교적 쉽지만, 부식질이 풍부한 점질양토(粘質壤土)가 적합하며, 덩굴성이므로 적당한 지주(支柱)를 세워준다. 겨울에는 최저온도 5℃를 유지하여야 한다. 번식은 보통 3∼5월 무렵에 꺾꽃이한다. 아시아 남동부,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광과 온도 : 개화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광이 필요. 최저 13℃이상에서 생육지속, 월동가능온도 : 5~8℃.
♠ 용토: 과습하면 뿌리썩음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배수가 잘 되는 배합토에 심어야 한다.
♠ 시비 : 생장기에는 완효성 고형비료를 주어도 좋다.
♠ 물주기 : 생육기에는 용토의 표면이 마르면 관수하고 가을 이후는 관수를 더 줄인다. 고온건조할 때는 한낮에 분무하여 공중습도를 높여 준다.
♠ 번식 : 4~5월에 충실한 반정도 굳은 가지를 1~2마디로 잘라 삽목하면 된다. 삽목용토는 수태단용이 좋다. 자른 부위에 수태를 감아 비닐포트에 심어 두면 1개월정도 지나 뿌리가 내린다.
♠ 병해충 : 주의해야 할 병해충은 진딧물, 깍지벌레 등이다.

※ 왁스 식물(wax plant)
납질의 흰색 꽃이 피기 때문에 흔히 왁스 식물이라고 부르는
옥접매 (Hoya carnosa)는 종종 화분에 심어 집안에서 키운다. 호오디아속(Hoodia)·스타펠리아속(Stapelia)·후에르니아속(Huernia) 같은 다육식물은 악취를 풍겨서 파리를 끌어들여 꽃가루받이를 한다. 디스키디아 라플레시아나(Dischidia rafflesiana)는 주머니처럼 생긴 잎에 빗물을 모아두며 자라서 주머니잎이 되는 뿌리를 통해 물을 흡수한다. 가끔 개미들이 주머니잎 바닥에 구멍을 뚫어 물을 빼낸 뒤, 그 공간을 다른 식물로 채운 다음 새끼들을 키우는 둥지로 이용한다.

 

옥접매 [밀랍식물] - Hoya carnosa

♠ 이명 : Asclepias carnosa
♠ 분포 : 인도나 중국 남부 (내한력) -1℃
♠ 형태 : 높이 30cm크기로 덩굴모양으로 뻗으며 자란다.
♠ 재배 : 겨울철엔 가급적 건조하게 관리. 이외 시기엔 규칙적인 관수. 과도한 물은 뿌리를 상하게 한다.
♠ 광 : 그늘
♠ 번식 : 줄기 꺽꽂이, 휘묻이

샴덩굴초 - Hoya kerrii

♠ 분포 : 태국북부 건조한 숲. (생육적온) 10~35℃
♠ 형태 : 잎 길이 12cm, 폭 10cm의 덩굴성 반연(攀緣)식물.
       잎은 두터운 육질을 가진 하트모양으로 매우 매혹적인 다육식물 
♠ 재배 : 매우 강건한 종이나 저온에 약하다.
♠ 광 : 강하고 밝은 햇빛을 받으면 잘 자라고, 꽃도 잘피는 종이다.
♠ 물주기 : 영상 10도이상 유지하고 물을 규칙적으로 준다.
                즉, 항상 수분이 화분에 유지되는 것이 좋다.
♠ 꽃 : (화경) 0.8~1.5cm. 작은 유백색 꽃들이 20여개정도 군집으로 피는데, 향기는 없으나 꽃이 7일 정도 지속된다
♠ 번식 : 잎 꽂이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검룡각(劍龍角屬, Huernia )속

높이는 1미터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이다. 꽃은 산형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방추형이며 종자에 털이 있다.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서 80여 종이 자란다. 아스클레피아스 시리아카(Asclepias syriaca)와 아스클레피아스 쿠라사비카(Asclepias curassavica)는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북아메리카산 아스클레피아스 투베로사(Asclepias tuberosa)는 밝은 오렌지색 꽃이 핀다.

※ 밀크위드 솜(milkweed floss)
북아메리카에서 자라고 있는 아스클레피아스 시리아카(Asclepias syriaca)와 아스클레피아스 잉카르나타(Asclepias incarnata)의 종자섬유를 "밀크위드 솜"이라 칭한다.

솜은 부드럽고 물에 뜨며 광택이 나는데,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며, 각 섬유가 길이 약 1~3㎝, 지름 20~50㎛ 정도이다. 솜이 들어 있는 씨꼬투리를 기계로 가공하거나 돌려서 씨에 달라붙어 있는 섬유를 분리해낸다. 섬유에는 기름 성분과 나무에 많은 리그닌이 들어 있는데, 리그닌 때문에 실을 자을 때 부서지기가 쉽다. 솜은 구명 재킷, 구명대와 같은 수중안전장치를 만드는 데 쓰이며 자신의 무게보다 30배 지탱하며 물에 떠 있을 수 있다. 또한 실내 장식용품의 속이나 절연재로도 쓰인다. 다른 유사한 종자섬유처럼 베지터블 실크(vegetable silk)로 부르기도 한다.

적귀각(赤鬼角,縞馬)[]- Huernia zebrina

소형의 기둥모양인 줄기를 군생시켜 불가사리와 같은 다섯 꽃잎으로 벌어진 호아색 바탕에 적갈색의 줄무늬가 들어간 꽃이 핀다. 구미에선 꽃의 모양에서 불가사리 식물이라 불리우고 있다.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국장(國章屬, 스타펠리아 Stapelia )속

일명 캐리언플라워(C arrion flower)라 불리운다. 스타펠리아속과 후에르니아속(Huernia) 2속에 속하는 100여 종(種)의 다육식물들로 남아프리카의 건조지역에서 자생한다. 선인장과 비슷한 형태로 공모양의 줄기에 적갈색의 불가사리 모양의 큰 꽃이 피는데, 이 꽃에서 나는 나쁜 냄새 때문에 캐리언플라워라는 영어 이름이 붙여졌다. 고기 썩는 냄새가 나 파리들을 끌어들여 꽃가루받이를 한다. 줄기는 두껍고 4개의 홈이 깊게 패어 있어 단면이 십자(十字) 모양이며, 가끔 색깔을 띠고 있거나 줄기의 표면에서 나온 돌기물들로 덮여 있다. 진짜 잎은 없고 비늘이나 가시가 있다. 꽃에는 자주색 또는 붉은색, 노란색의 줄무늬와 점들이 있다. 스밀락스 헤르바케아(Smilax herbacea)는 미국의 숲에서 자라는 백합과(Liliaceae)의 덩굴식물로, 꽃에서 악취가 나기 때문에 캐리언플라워라고도 부른다.

왕서각 (王犀角)[캐리언 플라워]-Stapelia gigantea

♠ 분포 : 남아프리카 나탈
♠ 형태 : 줄기는 다육질로 비스듬히 직립하여 높이 15~20㎝ 정도 자라며 군생하고 연녹색으로 둥글며 4개의 능선이 있어 자른 단면이 +자를 이룬다. 꽃은 어린 줄기 기부에서 나와 1~2개가 피며 직경 10 ~35㎝ 정도로 크고 별 모양의 5갈래로 갈라져 끝은 뾰족하고 연황색 바탕에 적자색 가로 무늬가 있으며 연한 자색 털이 밀생한다. 이꽃은 특이하게 생선 썩은 냄새가 나는데 이것은 다른 꽃과는 달리 벌에 의해 수분하는 것이 아니라 파리에 의해 수분을 하게 되므로 파리를 유인하기 위한 것이다.
『관리』양지를 좋아하고, 내한력 10℃. 건조한 듯이 관수. 번식은 분주나 삽목

대화서각(大花犀角)[거성화]-Stapelia grandiflora

♠ 이명 : Stapelia flavirostris
♠ 분포 : 남아프리카 잠비아. (생육적온) 5℃~30℃이나 10℃이상을 항상 유지. 저온에 약하다
♠ 형태 : 잎이 없고 진초록의 줄기가 몸체를 이루고 있다. 줄기가 연이어 발생해 전체가 작은 관목형으로 자란다. (높이) :20cm (폭) 60cm
♠ 광 : 반그늘에서 잘 자라며, 여름에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
♠ 물주기 : 건조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줄기가 웃자라 무름병 발생할 우려가 있다.
♠ 꽃 : 꽃의 형태가 매우 괴이하고 요염. (화경) 12cm, 일반적으로 7~10월에 줄기하부에서 어두운 자주색의 꽃이 1~3송이 피는데 생선 상한 악취가 난다. 이것은 파리같은 것을 끌여들여 수정을 시키기 위함이다. 조건이 맞으면 일년내내 개화.
♠ 재배 : 매우 원활한 배수와 통기성이 좋은 용토에 심고, 건조하게 관리. (번식) 봄이나 여름에 종자 혹은 삽목으로 번식 (병충해) 솜벌레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Pseudolithos속

방사성 돌기무늬를 가진 Pseudolithos속은 돌덩이 모양의 고도로 다육화한 독특한 다육식물로 Hoodia속과 흡사해 매니아들로부터 귀한 품종으로 취급.

의제옥(擬蹄玉) Pseudolithos migiurtinus

Pseudolithos migiurtinus(= sphaericum)

♠ 분포 : 아프리카 소말리아 (내한력) 저온에 매우 약함 (생육적온) 10~30℃
♠ 형태 : 직경 15cm인 몸체의 채색은 연초록으로 방사성 돌기 무늬를 가지며, 단추 같은 모양의 꽃자리를 나타낸다.
♠ 물주기 : 배수성이 매우 원활한 용토에 심어관리. 건조하게 관리하는 것이 좋으며, 여름 장마철엔 단수
♠ 꽃 : (화경) 1.5cm. 늦가을에 초코렛색의 5각형 꽃이 핀다.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Stephanotis속

♠ 분포 : 마다가스칼
♠ 형태 : 덩굴성으로 지주를 감고 올라가는 습성으로 지주를 세워서 유인. 봄부터 여름에 걸쳐 순백색의 꽃이 피며 향기가 좋다. 마다가스칼 자스민이라고 부르기는 하지만 자스민 종류는 아니다. 꽃은 절화로서도 사용되고 코사지등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 광과 온도 : 광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식물의 밑부분까지 빛이 잘 들도록 관리해야 꽃이 잘 핀다. 8∼10℃에서 월동이 가능하지만 겨울철 재배온도는 15℃ 이상을 유지해야 생육을 계속한다.
♠ 시비 : 추비는 월 1회 준다.
♠ 물주기 : 생육기에는 용토의 표면이 마르면 관수하고, 저온기에는 관수량을 줄인다. 고온건조시에는 자주 분무하여 공중습도를 유지하여 준다. 15℃ 이상에서 관수와 분무를 자주 한다(특히 개화기동안). 겨울에 적당히 관수하면 새로운 꽃눈의 형성에 유리하다.
♠ 번식 : 삽목으로 번식하는데 절간이 짧은 덩굴 기부의 마디는 액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삽수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발근도 쉽지 않는 종류에 속하므로 발근 촉진제를 처리한다.
♠ 병충해: 깍지벌레가 발생한다.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아라한속(亞羅漢屬, Trichocaulon )

불두옥(佛頭玉)[]-Larryleachia cactiformis

♠ 이명 : Stapelia cactiformis, Trichocaulon cactiforme
♠ 분포 :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 형태 : 가시가 없고, 회록색의 구형~원주형 줄기를 가지며 아래부분에서 분지한다. 높이 30cm, 직경 4~6cm 정도
♠ 꽃 : (화경) 1.5~2cm, 여름에 황색. (생육적온) 12℃~30℃.
♠ 재배 : 매우 원활한 배수와 통기성이 좋은 용토에 심고, 건조하게 관리. 하절기에 가급적 많은 햇빛을 받게 하는데, 이때 통풍이 안되면 고온 장해를 입게 됨을 유의. 겨울동안 보온 유지. (번식) 씨앗 (병충해) 깍지벌레♠ 물주기 : 여름 장마철과 겨울 휴면기에는 단수.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Fockea

Fockea속은 자웅이체로 기부 괴근이 매우 발달한 10여종의 아프리카산 덩굴식물이다. 매우 강건한 특성을 가져 재배는 무난한 편이며, 큰 괴근은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Fockea capensis

♠ 이명 : Fockea crispa[우주선(宇宙船,京舞妓)], Cynanchum crispum
♠ 분포 : 남아프리카 케이프주 (내한력) 1℃ (자생지 평균온도) 10℃
♠ 형태 : 줄기의 굵기 60cm정도로 괴근이 매우 큰 다육식물, 잎은 휴면기 겨울에 탈락하는 습성이 있다.
♠ 재배 : 휴면기인 겨울철에 과습되면 뿌리가 쉽게 상하므로 건조하게 관리하고, 이외시기엔 규칙적 관수
♠ 광 : 반그늘을 좋아하며, 특히 기부 괴근은 햇빛에 노출되어서는 안된다. 괴근이 반쯤 묻혀있을 때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성장이 좋다

화성인(火星人) Fockea edulis

♠ 이명 : Fockea cylindrica
♠ 분포 :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내한력) -2℃ (자생지 평균온도) 10℃ (생육적온) 6~35℃
♠ 형태 : 키 60cm, 줄기의 굵기 60cm정도로 괴근이 매우 큰 다육식물. 작은 돌기를 갖고 있으며 채색은 회백색
♠ 재배 : 휴면기인 겨울철에 과습되면 뿌리가 쉽게 상하므로 건조하게 관리하고, 이외시기엔 규칙적 관수
♠ 광 : 반그늘을 좋아하며, 특히 기부 괴근은 햇빛에 노출되어서는 안된다. 괴근이 반쯤 묻혀있을 때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성장이 좋다
♠ 꽃 : (화경) 0.6~1.5cm의 약간의 향이나는 황색 꽃이 늦여름에 핀다. 있다. (열매) 벌레모양의 주머니 형태
♠ 번식 : 종자나 줄기 삽목
♠ 기타 : 종명 edulis는 edible "식용가능한" 의미로 원산지 토착민들은 괴경을 식용으로 이용. 식물 일부분은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비단선인장 http://www.cactus.or.kr/)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

십이권속-두터운 잎류(十二卷屬; 硬葉系, Hexangularis), 십이권속-가늘은 잎류(十二卷屬; 軟葉系, Haworthia),
노회속(芦 회/蘆회屬, Aloe), 송탑장속(松塔掌屬, Astroloba), 창각전속(蒼角殿屬, Bowiea),
원보장속(元寶掌屬, Gastealoe), 사어장속(沙魚掌屬, Gasteria), 호미란속(虎尾蘭屬, Sansevieria)

노회(알로에, Aloe)속

목립(木立), 용발금(龍髮錦)

용발금(龍髮錦)
Aloe arborescens

능금(綾錦)
Aloe aristata

능금(綾錦)
Aloe aristata

능금(綾錦)
Aloe aristata

영광금(榮光錦)
Aloe erinacea

침선인(針仙人)
Aloe excelsa

제왕금(帝王錦)
Aloe humilis

주쿤다
Aloe jucunda

주쿤다
Aloe jucunda

불야성(不夜城)
Aloe nobilis

Aloe peglerae

설낭(雪娘)
Aloe pratensis

명린금(明鱗錦)
Aloe saponaria

Aloe somaliensis

비취전(翡翠殿)
Aloe juvenna

천대전금(千代田錦)
Aloe variegata

노회(蘆繪) "알로에 베라"
Aloe vera

노회(蘆繪) "알로에 베라"
Aloe vera

 

노회(蘆繪) "알로에 베라"
Aloe vera

노회(蘆繪)

노회(蘆繪)

 

천대전금(千代田錦)
Aloe variegata

Aloe sp.

 

사어장(가스테리아, Gasteria)속

자보(子寶) Gasteria gracilis var. minima

자보(子寶)

자보금

미니 자보금

미니 자보금

GASTROLEA
cv. Black Boy

Gasteria acinacifolia

묵모(墨眸)
Gasteria maculata

묵모(墨眸)

묵모(墨眸)

Gasteria sp.

Gasteria sp.

백청룡(白靑(星)龍), 沙魚掌)

 

성우(聖牛)
Gasteria beckeri

백청룡
Gasteria carinata var. verrucosa

백청룡

백청룡

 

자보(子寶)

 

십이지권(十二之卷, 하월치아 Haworthia)속

응조(鷹爪) Haworthia reinwardtii

십이지권(十二之卷)
Haworthia fasciata

십이지권(十二之卷)

응조(鷹爪) Haworthia
reinwardtii

동성좌(東星座)
Haworthia papillosa

동성좌(東星座)

능의회권(綾衣繪捲)
Haworthia setata

고적금(鼓笛錦)
H. KOTEKI NISHIKI

고적금(鼓笛錦) 

고적금(鼓笛錦)

고적금(鼓笛錦)

용조(龍爪, 王者寶)
Haworthia margaritifera

구층탑

유리전(瑠璃殿)
Haworthia limifolia

유리전(瑠璃殿)
Haworthia limifolia

유리전(瑠璃殿)
Haworthia limifolia

만상 x 옥선 교배종

용의발톱

용의발톱

옥선(玉扇)
Haworthia truncata 

옥선(玉扇)

옥선(玉扇)

그린옥선

Haworthia truncata 'Jyuhyo'

옥선(玉扇)

만상(万象)

만상(万象)

만상(万象)

흑교(黑鮫)
Haworthia nigra

정고

콘제스타
Haworthia truncata v. congesta

'KISEKI'

뇌룡(雷龍)
Haworthia truncata var. maughanii 'KISEKI'

뇌룡(雷龍)

뇌룡(雷龍)

 수(壽)

H. truncata x cooperi

H. truncata x cooperi

흑어영(黑御影)
H. mirabilis ssp. mundula

수(壽)
Haworthia retusa

수금(壽)

수금(壽)

야로수(野路壽)
Haworthia turgida var. longibracteata 

대형옥로(玉露)
H. cooperi var. pilifera

보초금(寶草錦)

보초금(寶草錦)

보초금(寶草錦)

보초
Haworthia cuspidata

보초(寶草)

피그메
Haworthia pygmae

Haworthia schldtiana var. major

Haworthia sp.
(101)

Major 교배종

Haworthia sp.
(102)

모보초(毛寶草)
Haworthia cuspidata

강평수(康平壽)
Haworthia comptoniana

강평수(康平壽)

강평수(康平壽)

강평수(康平壽)

강평수(康平壽)

청자배(靑磁盃)
Haworthia reticulata

미문수(美紋壽)
Haworthia bayeri

스프린복블라켄시스
H. springbokvlakensis

제왕린(帝王鱗)
Haworthia venosa

옥로(玉露)
H. cooperi var. pilifera

옥장(玉章)

옥장(玉章)

Haworthia obtusa "dodson"

을녀산(乙女傘,"라모사")
H. cymbiformis var. ramosa

청자배(靑磁盃)
Ha. reticulata v. reticulata

거송설(巨松雪)
H. limifolia v. gigantea

옥장, 자우석(玉章, 紫雩石)
Haworthia cooperi var. truncata 

소귀희(小龜姬)
Haworthia angustifolia var. liliputana

Haworthia herrei var. glauca(?)

우석(雩石) "옵투사"

우석(雩石) "옵투사"

무명(無名)??

무명(無名)??

 

 

"집게발"

보초금(寶草錦)

 

 

무명(無名)??

 Haworthia sp.
(103)

<출처: 비단선인장 http://www.cactus.or.kr/)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

RS Choi의 선인장 정원/다육식물 특징 및 재배방법/잎이 다육인 식물/백합과(百合科 ; Liliaceae)                            

십이권속-두터운 잎류(十二卷屬; 硬葉系, Hexangularis), 십이권속-가늘은 잎류(十二卷屬; 軟葉系, Haworthia),
노회속(芦 회/蘆회屬, Aloe), 송탑장속(松塔掌屬, Astroloba), 창각전속(蒼角殿屬, Bowiea),
원보장속(元寶掌屬, Gastealoe), 사어장속(沙魚掌屬, Gasteria), 호미란속(虎尾蘭屬, Sansevieria)

백합과(百合科 ; Liliaceae) 노회(蘆회屬, Aloe)속

이 속은 매우 인기있는 관목성 다육식물로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아라비아에 약 300종이 자생하고 있다. 구별에 있어 용설란속(龍舌蘭, Agave)과 혼동하기 쉬우나, 노회속 잎에는 젤같은 수액(樹液)이 있고, 용설란속은 꽃이 진후 죽는 반면 노회속은 죽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대형종에서 소형종까지 다양하게 있으나 대부분은 육질이 두터운 잎은 로젯트상으로 총생하며 줄기가 없다. 몇몇 종은 끝이 뾰족하고 가시가 달린 잎과, 노란색 또는 붉은색의 화려하게 무리지어 피는 꽃을 보기 위해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알로에 잎에는 알로인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화상, 외상, 궤양 등에 유효하다. 잎에 무늬가 들어 있는 변이품종과 종간교배종이 많다. 대표종으로 용두금(龍頭錦, A. arborescens)와 진(眞, Aloe vera)가 있다. 약용으로 쓰이는 것으로는 용두금, 진(眞, Aloe vera), 명린금(明鱗錦, Aloe saponaria), 알로에 페리이(Aloe perryi), 청악(靑鰐, Aloe ferox), 희망봉(喜望峰/帝錦, Aloe africana) 등이 있다. 최근 알로에 베라를 비롯해 알로에를 이용한 건강식품과 화장품이 널리 알려져 있다.

[노회속 관리방법]

성장속도

매우 빠른편(약 30cm/년)

생육적온

5~40°C이나 저온에 약한 식물이다

물주기

화분 위 흙이 완전히 건조되었을 때 관수

꽃대는 총상화서. 꽃은 황색~연분홍

번식

종자나 줄기 삽목(봄과 가을에 삽목)

광(光)

직사광선을 좋아하나 반그늘에서 관리하면 더 튼튼한 다육질이 된다.

용토

배수성/통기성이 매우 원활한 모래질이 많은 용토에 심어 관리

병충해

여름철 고온다습에 의한 무름병 발생우려. 뿌리의 통기성을 고려 배수가 매우 원활해야 한다.

기타

곤충을 유인하는 꿀을 내 뿜는다

용두금(龍頭錦) [목립 알로에]-Aloe arborescens

♠ 이명 : Cateval!a arborescens, Aloe arborea, Aloe arborescens var. milleri, Aloe arborescens var. natalensis, Aloe arborescens var. frutescens, Aloe arborescens var. pachythyrsa, Aloe frutescens, Aloe fruticosa, Aloe natalensis, Aloe perfoliata var. eta, Aloe perfoliata var. arborescens
♠ 분포 : 남아프리카 모잠비크 (내한력) -4°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높이 5m크기의 큰 관목형 알로에. 짧은 다육질의 줄기는 칼날 모양으로 가장자리엔 톱니와 같은 돌기가 있어 날카롭다. 꽃은 대롱 모양이며 열매는 삭과이다. 용두금의 줄기는 회녹색으로 가늘고 길지만, 지역에 따라 약간의 변종이 있으며, 노란색 줄무늬가 들어있는 것도 있다. 종명 arborescens는 작은 나무 모양의 뜻.
♠ 광 : 반그늘~강광
♠ 꽃 : 보통 적색이나 황색인 개체도 있다. 한 겨울에 개화
♠ 재배 : 배수가 잘되고 유기질이 풍부한 용토에 심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관리. 화분 위 흙이 완전히 건조되었을 때 관수
♠ 번식 : 종자나 줄기 삽목. 삽목시에 줄기를 잘라 수일간 자른면을 건조시킨 후 배수가 잘되는 용토에 심으면 자른면에서 뿌리가 내린다.
♠ 기타 : 젤같은 수액은 약재로 사용되는데 응급시에 구급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노회속 대부분의 종에는 70%정도 공통적인 약 성분을 가지고 있으나 용두금에는 특히 혈액순환 촉진, 혈과 개선, 심장기능 항진, 만성변비 등에 뛰어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산(龍山,神頭龍山) [용의 발톱, 짧은 잎 알로에]- Aloe brevifolia var. brevifolia

♠ 이명 : Aloe prolifera, Aloe perfoliata var. delta
♠ 분포 : 남아프리카 서부 (내한력) -1℃ (자생지 평균온도) 10℃
♠ 형태 : 기부에 잎이 밀집된 로제트 형상을 하고 있는 알로에로 잎 가장자리와 중앙에 흰색의 가시가 돌출되어 있다. 키 45cm, 폭 20cm로 큰 군생으로 성장.
♠ 재배 : -1℃이상에서 월동하며 충분한 광선이 필요하다.
♠ 광 : 직사광선을 좋아하나 반그늘에서 관리하면 더 튼튼한 다육질이 된다.
♠ 물주기 : 물을 줄 때는 흙이 충분히 마른 후에 관수하는데 연중 규칙적 관수.
♠ 꽃 : 늦 봄에 적색의 꽃이 핀다.
♠ 번식 : 종자나 분주

[디스코잉지]-Aloe descoingsi

♠ 이명 : Guillauminia descoingsii
♠ 분포 : 남아프리카 마다가스칼의 고도가 낮은 지역 (내한력) -4°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성장하면서 분주가 잘 발생하는 종으로 노회속중 가장 작은 종(직경 5cm크기의 로제트형 줄기). 모양만 보면 알로에보다 오히려 하월티아속에 가까운 느낌이 든다.
♠ 광 : 보통 강광
♠ 꽃 : 연분홍
♠ 재배 : 극한 건조에도 내성이 있는 종으로 화분 위 흙이 완전히 건조되었을 때 관수
♠ 번식 : 종자나 분주의 삽목
 

황새금(皇璽錦)[]-Aloe dichotoma " 노회속중 가장 큰 종"

♠ 이명 : Aloe ramosa, Aloe dichotoma var. montana, Aloe montana
♠ 분포 :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내한력) -5°C
♠ 형태 : 아주 굵은 줄기는 윗부분에서 수목형으로 분지해서 거대한 나무형태로 된다. 수령(樹齡) 수백년에 높이 9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몸통은 회갈색, 20~30cm크기의 잎은 청록색이며 가장자리에 백색의 짧은 가시가 있다. 어린 시기에는 세로 4열로 잎이 배열하나, 얼마 안 있어 선회한다. 광택있는 황색 꽃이 겨울에 핀다.
♠ 광 : 강한 직사광선에서 잘 자라는 종
♠ 꽃 : 3cm크기의 대롱모양인 황색꽃이 겨울에 핀다.
♠ 재배 : 성장이 대단히 빠른 종으로 일년에 약 30cm 이상 자란다. 배수가 용이하지 않으면 뿌리가 쉽게 상하므로 배수성과 통기성이 매우 좋은 용토에 심어 관리.
♠ 번식 : 종자번식이 용이
 

불야성(不夜城)[Gold Tooth Aloe]-Aloe nobilis

♠ 분포 : 교배종 (내한력) -7°C (자생지 평균온도) 10°C (생육적온) 15~25℃
♠ 형태 : 일명 황금이빨 알로에로 통하며, 높이 30 cm x 30 cm까지 자란다. 진한 녹색 잎은 얼룩이나 줄무늬가 없다. 잎 둘레에는 옅은 황색가시가 있다. 잎의 길이나 형상에 따라 여러 변종이 있다.
♠ 광 : 강한 직사광선에서 잘 자라는 종
♠ 꽃 : 화대 60cm에 주황~적색인 꽃이 여름에 개화
♠ 번식 : 종자나 분주에 의한 삽목
♠ 기타 : 불야성은 Aloe mitriformis 혹은 Aloe distans, Aloe arborescens를 교배시킨 종으로 추정

여교(戾橋) [목성알로에] - Aloe pearsonii

♠ 분포 : 남아프리카 (자생지 평균온도) 10℃
♠ 형태 : 줄기를 따라 4장의 잎이 정렬된다
♠ 재배 : 생장 속도가 매우 느린 종이며, 여러 줄기의 군생으로 자란다. 자생지에서는 건조기에 잎이 붉게 변했다가 비가 오면 녹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가급적 물을 적게 주면서 관리
♠ 광 : 직사광선을 좋아하나 반그늘에서 관리하면 더 튼튼한 다육질이 된다.
♠ 꽃 : 여름에 적색, 황색 또는 오렌지색의 꽃이 핀다.
♠ 번식 : 종자나 분주에 의한 삽목

명린금(明鱗錦) [서양 인삼, 비누 알로에, 얼룩말 알로에]- Aloe saponaria

♠ 이명 : Aloe disticha Miller, Aloe maculosa, Aloe perfoliata var. theta, Aloe perfoliata var. lambda, Aloe perfoliata var. saponaria, Aloe saponaria, Aloe saponaria var. latifolia, Aloe latifolia, Aloe leptophylla, Aloe leptophylla var. stenophylla, Aloe maculata Medikus, Aloe saponaria var. brachyphylla, Aloe saponaria var. ficksburgensis, Aloe saponaria var. saponaria, Aloe umbellata
♠ 분포 : 남아프리카 짐바브웨 (내한력) -2°C (자생지 평균온도) 10°C (생육적온) 15~25℃
♠ 형태 : 높이 45cm, 직경 40cm 로제트의 총생(叢生)으로 줄기는 짧고, 15-16매의 잎이 좌생하며 수평으로 퍼져 자란다. 옆폭은 4-7cm 정도로 끝은 피침형이며 뾰족하다. 뿌리부근에 자주발생이 많아 군생한다. 잎은 자라면서 밑으로 휘어지고 백색의 가늘고 긴 반점이 전면에 나타나며 불규칙적인 가로무늬가 있다. 잎 주변에는 다갈색의 가시가 있다.
♠ 광 : 강광~반그늘
♠ 관수 : 직사광선을 좋아하나 반그늘에서 관리하면 더 튼튼한 다육질이 된다.물빠짐이 매우 원활한 상태에서 연중 규칙적 관수
♠ 꽃 : 황색, 오렌지, 적색의 꽃이 초봄~여름에 개화
♠ 번식 : 분지에 의한 삽목
♠ 기타 : 명린금은 노회속중 가장 흔한 식물로 일반가정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종으로, 종명 사포나리아는 인삼의 주성분인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지어진 이름으로서 일명 서양 인삼이라고 부른다. 약효가 베라와 비슷하지만 부작용이 작고 우리나라 사람의 체질에 제일 잘 맞는다고 한다. 생잎으로 먹을 수 있는 유일한 알로에이다.
 

진(眞) [약용 식물-Medicine Plant]-Aloe vera

♠ 이명 : Aloe barbadensis, Aloe chinensis, Aloe elongata, Aloe flava, Aloe lanzae, Aloe perfoliata var. barbadensis, Aloe perfoliata var. vera, Aloe vera var. chinensis, Aloe vera var. littoralis, Aloe vera var. wratislaviensis, Aloe barbadensis var. chinensis, Aloe indica, Aloe vera var. lanzae, Aloe vulgaris
♠ 분포 : 인도, 아라비아, 북아프리카 (내한력) -5°C (자생지 평균온도) 10°C (생육적온) 15~25℃
♠ 형태 : 줄기는 짧고 잎은 두껍우며, 잎 길이는 60cm정도까지 자란다. 잎색은 회백록색. 잎의 기부는 넓고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끝은 뾰족하다. 잎가장자리엔 가시가 나 있고, 유모종에서는 점무늬가 있다.
♠ 광 ; 보통은 강광을 좋아하나 양지가 바른 곳이나 반그늘에 두고 관리.
♠ 재배 : 성장속도가 빠른 편이나 물빠짐이 매우 원활한 용토에 심어 관리.
♠ 관수 : 극한 건조에도 내성이 있는 종으로 화분 위 흙이 완전히 건조되었을 때 관수. 만일 젤같은 수액을 얻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관수를 행한다.
♠ 꽃 : 꽃대는 길게 올라와 총상화서로 통상의 노랑꽃이 핀다.
♠ 번식 : 실생이나 분주(번식이 잘되는 종이다).
♠ 기타 : 베라는 약용알로에로 온 세계에 알려져 있다. 현재 이 베라를 이용한 화장품(선스킨)이 상품화 되어 시판되고 있다.
 

 

고검산(Dyckia frigida)

잎은 광택이 나고 농녹색을 띠고 있으며 잎가장자리에 가시가 돋아나 있으며 키는 대체로 50cm 정도 자란다.

천대전금(千代田錦)[호랑이 알로에]-Aloe veriegata

♠ 이명 : Aloe ausana, Aloe punctata, Aloe variegata var. haworthii
♠ 분포 :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내한력) -7°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30cm정도의 소형종으로 V자형의 잎이 세방향으로 포개어 자라며, 선명한 흰 반점이 띠형태로 가로줄무늬를 만든다. 잎 가장자리와 아랫면 중앙선에 가는 톱니모양의 가시가 있는 흰선이 있다.
자주 분주가 생겨 군생한다. 길게 뻗친 삼각형의 잎이 세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뻗어 치밀하게 짜여진 아름다운 종류.
♠ 광 : 반그늘
♠ 관수 : 극한 건조에도 내성이 있는 종으로 화분 위 흙이 완전히 건조되었을 때 관수(천대전금은 봄과 가을이 성장기이다).
♠ 꽃 : 꽃대는 30cm정도 길게 올라와 총상화서로 끝부분이 녹색인 분홍~적색꽃이 겨울에 핀다. 꽃맺음도 좋고 호랑얼룩무늬의 잎과 잘 어울린다.
♠ 번식 : 종자나 분지에 의한 삽목
♠ 기타 : 천대전금은 전세계에 걸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종으로 강한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는 일반가정 창가에서도 잘 자라는 종이다.

 

백합과(百合科 ; Liliaceae) 창각전(蒼角殿屬, Bowiea)속

본 속명은 영국 식물학자 제임스 Bowie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1종만이 남아프리카에 자생하는 백합과 다육식물로 기부는 양파와 흡사하다. 저온에 매우 약한 식물로 영상 10도를 항상 유지해야 한다.

창각전(蒼角殿)[양파 Sea Onion]-Bowiea volubilis

♠ 이명 : Schizobasopsis volubilis
♠ 분포 : 남아프리카 짐바브웨, 잠비아, 탄자니아 (내한력) 5~10°C
♠ 형태 : 채색은 광택이 나는 암녹색으로 편평한 구 알뿌리는 분구(分球)하는 경향이 있다. (구경) 25cm (줄기의 높이) 2.5m까지 성장하는데 구체의 반정도는 땅에 묻혀 자라며, 매년 새로운 줄기가 발생한다. 생육초기에는 길이 5~6cm 정도의 작은 잎이 붙어
있으나, 곧 떨어지고, 직경 3~4mm의 가는 줄기만이 분지를 내면서 생장해 덩굴형태로 번무하여 주 전체를 덮는데 아스파라거스처럼 보이게 된다. 창각전의 형태는 그다지 아름다운 식물이 아니나 메니아들로 부터 사랑을 받는 품종에 속한다.
♠ 광 : 반그늘이나 양지 바른 곳에 두고 관리해야 하나, 알뿌리는 그늘에 가려져야 한다. 한여름 고온의 직사광선을 피한다.
♠ 관수량 : 여름에 꽃이 진후 줄기가 완전히 말라버렸을때부터 관수를  점차적으로 줄이고, 가을에 다시 줄기가 돋아나기 시작했을때 부터 관수를 행한다.
♠ 재배 : 배수가 매우 원활한 모래나 배합토 사용. (생육기) 4~10월
♠ 꽃 : 봄에 매우 긴 꽃대에 1cm정도 크기의 녹색꽃이 핀 후 열매가 달린다.  ♠ 번식 : 종자나 분구

 

백합과(百合科 ; Liliaceae) 사어장(沙魚掌屬, 가스테리아 Gasteria)속

아프리카 남부에 80종 정도가 있다. 알로에속(屬)과 유사하나 빨간 꽃이 피는 것이 다르다. 꽃은 위장 모양으로 작고, 줄기가 없다. 속명 Gasteria는 gaster에서 왔는데 꽃 중심이 배(복부)모양으로 부풀어 오른데서 연유한다
잎은 소의 혀 모양으로 어긋나고, 길고 가는 다육질의 잎은 유모종일때 일렬로 자라지만, 점차 나선형 모양의 로제트형이 된다. 잎은 짙은 녹색으로 흰 점이나 흰 무늬가 있고 표피는 딱딱하다. 잎 끝이 튀어나오며 톱니는 없다. 봄에 로제트 중심에서 긴 꽃대가 올라온다. 가스테리아는 여름의 심한 직사광선을 제외한 직사광선과 실내의 낮은 광도에서도 잘 적응하므로 화분에 심어 관리한다. 여름철에는 배양토가 습도를 유지하도록 관리하고 겨울철에는 흙이 완전히 마른 후에 물주기를 한다. 봄이나 여름에 어린 식물이 생길 수도 있는데, 뿌리가 충분히 내릴 때까지 작은 화분에 놓아 둔다. 씨를 뿌릴 경우에는 씨가 발아할 때까지 유리등으로 화분을 피복한다. 싹이 나면 조심스럽게 물주기를 하고 잎이 두 장이 생기면 3~5cm간격으로 심는다.
대표종에 와우(臥牛 : Gasteria nitida v. armstrongii)가 있다. 로제트(rosette) : 단축된 줄기 끝에 붙어서 지표에 접하여 방사상으로 늘어선 잎군[葉群].

와우(臥牛)[]-Gasteria armstrongii

[가스테리아] 표피가 두거운 잎은 대생으로 좌우로 벌어지고 오래되며 나선형으로 전개해 간다. 수수하나 깊고 차분한 분위기가 있는 그룹이다. 꽃대를 길게 뻗고 주황색의 작은 꽃이 많이 핀다. 꽃모양은 인경(종)모양이며 위모양과 흡사하다 하여 가스테리아라 이름지어졌다.
♠ 형태 : Gasteria속의 대표종이며 형태는 개체간 차이가 많다. 두텁고 혀처럼 생긴 잎이 양쪽으로 호생한다. 잎 윗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융기가 있으며 잎 전면에 작은 돌기가 다수 산재해 있어 까칠까칠하다. 엽색은 어두운 녹색, 생장은 느리다.

자보(子寶)[]-Gasteria gracilis v. minima

♠ 분포 : 남아프리카
♠ 형태 : Gasteria gracilis의 소형 변종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잎은 길이 2~5cm 정도로 호생한다. 자주가 잘 나와 군생한다. 반점이 많은 것은 조금 약하고 생장도 느리다.

 

백합과(百合科 ; Liliaceae) 십이권(十二卷屬, 하월치아 Haworthia )속

아프리카 남부에 150종 이상이 자생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는 알로에속에 속하기도 하는데, 소형식물로 잎이 로젯트상으로 총생한다. 대표종으로는 십이지권(十二之卷, Haworthia fasciata) 등이 있다.

보수(寶壽)?[]-Haworthia comptoniana

로제트(꽃모양 장식)는 10cm정도로 되는 비교적 대형의 종류이다. 이 계통의 것은 은은한 귀품이 있어 고전 원예의 만년청이나 동양란의 취미와도 통하는 것이다.

 

수련화 []-Haworthia cymbiformis

♠ 분포 : 남아프리카
♠ 형태 : 줄기가 없고 잎이 로제트를 이루고 있으며, 직경이 7~10cm 정도 된다.

잎의 길이는 3~4cm이고 폭은 2~2.5cm이다. 잎의 상단은 두텁고 선단이 투명하며 연결된 무늬가 있다. 이 종은 변종과 품종으로 세분되어 있지만 형태적으로 그다지 변화는 없다.

십이지권(十二之卷)[]-Haworthia fasciata

옛부터 재배되고 있는 아름다운 품종으로 단단하게 구부러진 삼각잎에 흰 줄무늬가 들어간다. 사진의 포기는 와이드밴드라 불리우고 있는 흰 줄무늬가 특히 뚜렷한 타입니다.♠ 분포 : 남아프리카
♠ 형태 : 줄기가 없으며, 지름 8~10cm의 로제트를 이룬다. 잎은 길이 4~4.5cm, 폭 1.5cm 정도로 긴 삼각형이며 선단은 뾰족하다. 잎 뒷면의 결절은 백색이며 가로줄무늬를 이룬다. Haworthia속 중에서 가장 널리 일반에 보급되어 있는 종이라고 할 수 있다.

만상(万象)[]- Haworthia truncata var. maughanii

♠ 이명 : Haworthia maughani
♠ 분포 : 남아프리카 서부 (내한력) -1℃ (생육적온) 5~35℃
♠ 형태 : 5~8개의 잎은 윗부분을 수평으로 절단한 것처럼 평편하며 원통형이며, 윗 부분은 흰 무늬가 있다. 이 무늬는 어미의 개체에 따라 다르며 사람의 지문처럼 계보를 알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일본에서는 이 문양에 희귀성을 부여해 많은 가치의 차이를 두어 재배는 물론 수집하는 매니아들이 많다. 길이는 2.5cm 정도이며 폭은 1~1.5cm 정도. 엽색은 진초록이며, 붉은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 이 종과 옥선은 자생지에서는 식물체가 땅속에 묻혀 있고 끝부분만 위에 나와 있다. 이것은 강한 태양광선으로 인한 건조상태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되고 있다.
♠ 재배 : 배수가 잘되는 흙이라면 12월.1월을 제외하고는 약간의 수분이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 광 : 고온의 직사광선을 싫어 하는 종으로 반그늘이나 양지 바른 곳(창가)에 두어 관리.
♠ 물주기 : 하절기 고온 다습에 주의하고 배수가 원활한 용토라면 한겨울을 제외하고 약간의 수분유지가 필요
♠ 꽃 : 꽃대는 25cm정도 이며, 흰색의 다섯개 꽃잎을 갖고 있다.
♠ 번식 : 종자

수(壽)[]-Haworthia retusa

♠ 분포 : 남아프리카
♠ 형태 : 줄기가 없으며, 직경 7~9cm의 로제트를 이루며 군생한다. 엽수는 15~20 정도로 길이 3~5cm로 넓고 직립한다. 색은 푸른 녹색이며 선단 1/3정도가 수평에 가깝게 구부러져서 절단명을 이룬다. 절단면은 약간 긴 듯한 삼각형이고, 대체로 투명하다. 5~8개의 흰선이 있다. 표면은 매끄러우며, 자생지가 넓고 개체차이가 있다.

옥선(玉扇)[]- Haworthia truncata

잎의 중간에는 칼로 싹뚝 잘라 버린 것 같은 납작한 표면을 갖는 특이한 종류이다. 그 납작한 표며은 창과 같은 역할을 해, 빛을 받아들인다고 한다.♠ 분포 : 남아프리카
♠ 형태 : 잎은 7~13 정도로 안쪽으로 약간 굽어있으며, 길이 2cm, 폭 1.5~2.5cm, 두께 3~12mm 정도이다. 잎은 정연한 호생으로 직립한다. 선단은 수평으로 절단된 모습으로 투명하다. 갈색을 띤 녹색
번식은 분주, 생육적 온도는 15~25℃ 

 

하월치아속 분류

꽃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3개의 아속 즉,
  - 꽃이 3각인 Haworthia 아속,
  - 꽃의 기부가 6면체인 Hexangularis아속, 그리고
  - 꽃 기부가 넓고 위로 갈 수록 폭이 좁은 Robustipedunculares아속으로 분류

구분

특징

Haworthia 아속

삼각형 또는 둥근 삼각형의 꽃이면서 약간 구부러져 있고, 꽃 기부에 약간의 언덕이 있는 품종으로 전체 하월치아속의 67% 해당. 이 특징은 Robustipedunculares 품종들엔 없다.

Hexangularis 아속

난초모양의 꽃은 기부가 6면체로 이루어졌고
attenuata, faciata, and scabra 등의 육질이 단단한 16종이 이에 해당

Robustipedunculares 아속

외형적으로 송설(松雪)과 흡사하나 꽃 기부가 널고 위로 갈 수록 폭이 좁은 모양의 꽃을 가진 4종(minima, marginata, kingiana, pumila)이 해당되는데, 여러개의 꽃이 하루나 이틀정도 만 개화하는 특징이 있다.
하월치아속 중 가장 크게 자라는 개체는 추천성 품종.

 

아속별 품종분류

Haworthia 아속

Hexangularis 아속

Robustipedunculares 아속

Haworthia angustifolia
        var. angustifolia 녹배(綠盃)
        var. altissima
        var. baylissii
        var. paucifolia
 
Haworthia arachnoidea
        var. arachnoidea 수모단(水牡丹)
        var. aranea 자모단(紫牡丹)
        var. namaquensis
        var. nigricans
        var. scabrispina 모모단(毛牡丹)
        var. setata 능의회권(綾衣繪卷)
        
능의회권(綾衣繪卷)
 
Haworthia aristata
        aristata 취련(翠蓮)
 
Haworthia bayeri
        bayeri 패협수(貝協壽, 美紋壽)
        

 
Haworthia blackburniae
        var. blackburniae 춘무연(春舞宴)
        var. derustensis
        var. graminifolia
 
Haworthia bolusii
        var. bolusii 신서전(神瑞殿), 곡수연(曲水宴)
        var. blackbeardiana 녹모단(綠牡丹)
        var. pringlei
 
Haworthia chlorocantha
        var. chloracantha 성자(星紫)
        var. denticulifera 대봉(大峯)
        var. subglauca 옥즐(玉櫛)
 
Haworthia cooperi
        var. cooperi 청운무(靑雲舞), 서광룡(瑞光龍),
                          청풍(靑風)
        var. dielsiana 옥장(玉章)
        var. doldii
        var. gracilis 용염(容艶)
        var. gordoniana 찬석옥로(鑽石玉露)
        var. isabellae 취월(翠月)
        var. leightonii 수정장(水晶掌)
        var. picturata 어소앵(御所櫻, 纓水晶)
        var. pilifera 옥로(玉露)
         
옥로(玉露)
        var. tenera 희회권(姬繪卷)
        var. truncata 희옥로(姬玉露, 雩石)
         
희옥로(姬玉露, 雩石)
        var. venusta 모옥로(毛玉露)
        var. viridis
 
Haworthia cymbiformis
        var. cymbiformis 수연화(水蓮華)
        var. incurvula
        var. obtusa 우석(草玉露, 雩石)
         

        var. ramosa 을녀산(乙女傘)
         
을녀산(乙女傘)
        var. reddii
        var. setulifera 아락원(雅樂苑)
        var. transiens 수정전(水晶殿)
 
Haworthia decipens
        var. decipiens 능성(綾星), 보성(寶星),
                             녹명원(鹿鳴苑)
        var. cyanea
        var. minor
        var. virella
        var. xiphiophvlla 경모단(硬牡丹)
 
Haworthia emelyae
        var. emelyae 보수(寶壽, 白銀壽)
        var. comptoniana 강평수(康平壽)
         
강평수(康平壽)
        var. major
        var. multifolia
 
Haworthia floribunda
        var. floribunda 청옥초(黛玉, 靑玉草)
        var. dentata
        var. major
 
Haworthia heidelbergensis
        var. heidelbergensis 희수(姬壽)
        var. minor
        var. scabra
        var. toonensis
 
Haworthia herbacea
        var. herbacea 천초(天草, 姬綾錦)
        var. flaccida
        var. lupula
        var. paynei
 
Haworthia lockwoodii
        lockwoodii 양총두(洋菜頭)
 
Haworthia maculata
        var. maculata
        var. intermedia 비취궁(翡翠宮)
 
Haworthia magnifica
        var. magnifica 화경(花鏡)
        var. acuminata 미점수(美点壽)
        var. atrofusca
        var. dekenahii 광성(光星), 청하(靑
蝦)
        var. splendens 청해(靑蟹)
 
Haworthia maraisii
        var. maraisii 군석척(群석척)
        var. meiringii
        var. notabilis
 
Haworthia marumiana
        var. marumiana 능녹(綾綠), 희금(姬琴)
        var. archeri
        var. batesiana 국회권(菊繪卷)
        var. dimorpha
        var. vindis
 
Haworthia mirabilis
        var. mirabilis 흑수락(黑壽樂)
        var. badia
        var. beubmannii 성골전?
        var. consanguinea
        var. paradoxa 국습(菊襲), 만수희(万壽姬)
        var. sublineata
        var. triebnenana
 
Haworthia monticola
        var. monticola 초자(初紫)
        var. asema 청조(靑鳥)
 
Haworthia mucronata
        var. mucronata 녹모단(綠牡丹)
        var. habdomadis
        var. inconfluens
        var. mornsiae
        var. rycroftiana
 
Haworthia mutica
        var. mutica
        var. nigra 서산수(西山壽)
 
Haworthia nortieri
        var. nortieri 능세(綾笹), 水藻花)
        var. globsifolia 옥화(玉華)?
        var. pehlemanniae
 
Haworthia outeniquensis
        outeniquensis
 
Haworthia parksiana
        parksiana 군교(群鮫)
 
Haworthia pubescens
        var. pubescens 모암람(毛岩藍)
        var. livida
 
Haworthia pulchella
        var. pulchella
        var. globifera
 
Haworthia pygmaea
        var. pygmaea 연수성(延壽城)
        var. argenteo-maculosa 청해(靑蟹)
 
Haworthia reticulata
        var. reticulata 청자배(靑磁盃), 록귀희(綠龜姬)
        

        var. attenuata
        var. hurlingii
        var. subregularis
 
Haworthia retusa
        retusa 수(壽)
    
수(壽) 수(壽)
 
Haworthia rossouwii
        var. calcarea
        var. petrophila
        var. rossouwii
 
Haworthia semiviva
        semiviva 곡수선(曲水扇)
 
Haworthia springbokvlakensis
        

 
Haworthia truncata
        var. truncata 옥선(玉扇)
         
옥선(玉扇)
        var. maughanii 만상(万象)
   
만상(万象) 뇌룡(雷龍)
                                      f. Rairyu 뇌룡(雷龍)

 
Haworthia turgida
        var. turgida 축연(祝宴)
,학귀(鶴龜)
        var. longibracteata 야로수(野路壽)
         
야로수(野路壽)
        var. suberecta 설화수(雪花壽)
 
Haworthia variegata
        var. variegata 희록(姬綠)
        var. hemicrypta
        var. modesta
 
Haworthia vlokii
 
Haworthia witterbergensis
        witterbergensis 위특초(威特草)
 
Haworthia zantneriana
        var. zantneriana 초서학(草瑞鶴)
        var. minor
Haworthia attenuata
        var. attenuata 송설(松雪)
        var. radula 송상(松霜), 절학희(折鶴姬)
 
Haworthia bruynsii
        bruynsii 경협수(硬協壽)
 
Haworthia coarctata
        var. coarctata 등룡(登龍),
              용환조(龍丸爪), 환엽용검(丸葉龍劍)
        var. adelaidensis 화소전(華宵殿)
        var. tenuis 흑석척(黑석척)
        f. greenii 녹취(綠鷲), 대륜탑(大輪塔)
        f. chalwinii
 
Haworthia fasciata
        fasciata 십이지권(十二之卷)
        
십이지권(十二之卷)
 
Haworthia glabrata
        glabrata 점문응조초(点紋鷹爪草)
 
Haworthia glauca
       glauca 조동(釣瞳, 靑龍)
        var. herrei 청동(靑瞳)
 
Haworthia koelmaniorum
        var. koelmaniorum 흑왕수(黑王壽)
        var. mcmurtryii 왜흑왕수(矮黑王壽)
 
Haworthia limifolia
        var. limifolia 유리전(瑠璃殿)
        

        var. gigantea 거송설(巨松雪)
        var. ubomboensis 수차(水車),
              
유리성(瑠璃城)
        var. arcana
유리자(瑠璃姿)
 
Haworthia longiana
        longiana 거룡(巨龍), 거용각(巨龍閣)
 
Haworthia nigra
        var. nigra 흑교(黑鮫)
         
흑교(黑鮫)
        var. diversifolia
 
Haworthia pungens
        pungens 벽유리탑(碧瑠璃塔)
 
Haworthia renwardtii
        var. reinwardtii 응조(鷹爪)          
응조(鷹爪) Haworthia reinwardtii
        f. chalumnensis 금탑(錦塔)
        f. kaffirdriftensis 소백합
        f. olivacea
        f. zebrina
        var. brevicula
 
Haworthia scabra
        var. scabra 대우풍차(大瘤풍차)
        var. lateganiae 장협풍차(長協風車)

        var. morrisiae 둔협풍차(鈍協風車)
        var. starkiana 풍차(風車), 귤(橘), 대왕팔용(大王八龍)
 
Haworthia sordida
        var. sordida
        var. lavranii
 
Haworthia venosa
        ssp. venosa 대제린(大帝鱗), 제왕린(帝王鱗)
        

        subsp. granulata
        subsp. tessellata 용린(龍鱗), 용호(龍琥)
        subsp. woolleyi
 
Haworthia viscosa
        viscosa 용성(龍城)
Haworthia kingiana
    kingiana 제왕권(帝王卷)
 
Haworthia marginata
    marginata 서학(瑞鶴)
 
Haworthia minima
    var. minima 만천성(
滿天星)
    var. poellnitziana 청호(靑虎),
          백록전(白鹿殿)
 
Haworthia pumila
    pumil 추천성(秋天星)
    maxima 동성좌(冬星座)
     
 

 

 

 

 

 

 

 

 

 

 

 

 

 

 

 

 

백합과(百合科 ; Liliaceae) 호미란(虎尾蘭屬, Sansevieria)속

일명 'snake plant', 'leopard lily'등으로 불리운다. 원산지는 열대 아프리카이며 약 60종이 관엽식물로 이루어져 있다. 원예품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 산세베리아는 Sansevieria trifasciata이다. 이 속을 영어로는 'bowstring hemp', 'snake plant', 'leopard lily'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고, 짧고 두꺼운 뿌리를 가지며 폭이 좁고 길쭉한 잎이 아래쪽에서 곧추서 달린다. 많은 종에서 내수성 있는 잎섬유를 얻을 수 있는데, 이 섬유는 로프나 활시위를 만드는 데 쓰인다. 복륜산세비에리아(Sansevieria trifascata var. laurentii)는 노란 줄무늬가 있는 잎 때문에 흔히 집 안의 화분에 심는다. 매우 작은 꽃은 연녹색으로 향기가 난다. 호미란(Sansevieria thyrsiflara)은 밝은 녹색 띠무늬에 가장자리가 노란색인 잎이 달리며, 향기가 나는 푸르스름한 흰 꽃이 길게 무리지어 핀다. 한국에는 1958년경 복륜산세비에리아를 비롯해 몇 종류가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잎을 보기 위해 집 안의 화분에 널리 심고 있다.

♠ 분포 : 아프리카, 남아시아
♠ 형태 : 열대 관엽식물 가운데에서는 그 형태가 특이하고 건조에 강하기 때문에 관리에 힘이 들지 않고 보편화되어 있다. 아프리카 및 인도에 약60종이 자생되고 있으며, 가장 오래 사는 관엽식물 중의 하나로 다년생이다. 다육의 편평(扁平) 및 원통상(圓筒狀)의 잎이 근출되고 지하에 근경을 가지고 있다. 꽃은 잎 사이에서 단생하는 화경이 나오고 여기에 흰색을 띠는 작은 꽃이 수상(穗狀)으로 핀다.
♠ 광과 온도 : 연중 광선이 잘 쬐는 반그늘 아래에서 재배해야 하며 여름철에는 직사광선을 약간 피해야 생육이 좋다. 분에서 순화하는 식물의 적정광도는 35-45klux이다. 고온에서 잘 자라고 저온에는 매우 약하므로 가장 주의하여야 할 것은 월동이다. 겨울철에도 충분히 가온을 하여 적정온도 20-25℃를 유지하고 야간온도 10℃이상 이면 순조롭게 발육이 되나, 3℃이하로 내려가면 근원부에서 썩는다.
♠ 용토 : 분에 뿌리가 꽉 차있는 경우 이외에는 분갈이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2년에 1회 이상 분갈이를 하지 않는다. 용토는 강모래 등을 혼합하여 배수가 잘 되는 것을 사용한다.
♠ 시비 : 여름에 생육이 잘 되므로 여름동안에 시비를 잘 해야한다. 한달에 한번 액비를 시비하는 것이 좋다. 또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는 10일에 1회씩 시비하고 15℃이하로 내려가면 주지 않는다. 고형비료로서 깻묵에 계분을 섞은 것을 엄지 크기의 알비료로 해서 2개 정도 분토 위에 놓아준다.
♠ 물관리 : 산세베리아의 월동은 관수량을 줄이고 비교적 건조한 상태로 놓는 것이 좋다. 1개월쯤 물주기를 잊어도 고사하는 일은 없다. 특히 겨울철의 저온시에는 물을 적게 주도록 한다. 고온시에는 다습한 상태가 생육에는 좋으므로 항상 분이 젖어 있는 정도로 해 준다.
♠ 번식 : 분주와 삽목으로 하고 있다 엽삽은 잎을 길이 7-8cm 정도로 잘라 모래에 꽂으면 발근된다. 이때 절단면에서 새싹이 나오게 되는데 황색복륜반종(黃色覆輪班種)은 모두 청색으로 환원된다. 엽삽의 시기는 4-5월이 좋으며 발근된 것은 10cm분에 옮겨 심고, 싹이 6-8cm정도 자랐을 때 15cm 분에 3포기씩 다시 기식(寄植)한다. 로우렌티종은 등은 여름철 고온다습한 온실이나 하우스 내의 지면에 퇴비를 충분히 넣고, 화분에서 뽑은 것을 심어 놓으면 여러 개의 지하경이 발생되어 큰 포기로 되어 분주할 수 있게 된다.
♠ 병충해 : 물을 너무 많이 주면 잎이 황변한다. 튼튼한 품종이므로 병충해에는 별로 걸리지 않으나 잎을 깨끗이 닦아주도록 한다. 다른 문제점은 거의 없다.

천세란(千歲蘭) [Snake Plant]- Sansevieria niloica

18세기에 원예를 후원했던 Sanseviero의 왕자를 기념하여 붙인 이름. 천년란이라고도 한다.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짧고 두껍다. 잎은 좁고 긴 모양이며 뱀가죽같이 생긴 것도 있다. 잎에서 질기고 탄력이 있는 흰 섬유를 빼내어 쓴다.

[세통천세란(細筒千歲蘭)[]-Sansevieria intermedia]
 열대 아프리카 동부 원산으로 잎이 뒤로 뒤집히고, 아나나스와 같은 로제트(rosette)을 형성한다. 잎은 길이 30cm정도로 잎의 횡단면은 V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잎 가장자리는 칼날과 같이 날카롭다.

[대광엽천세란(大廣葉千歲蘭)[]-Sansevieria grandis]
열대 아프리카의 소말리랜드 원산이며 근경이 길고, 포기마다 2-4매의 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잎은 길이 50-70cm,폭 15cm정도이고 또 담녹색과 진한 녹색의 가로무늬를 형성하며 잎의 가장자리는 적갈색을 띠고 있다. 

[통천세란(筒千歲蘭)[]-Sansevieria stukyi]
아프리카 동부 원산로 잎은 원통형이며, 90cm정도로 직립되고, 안쪽으로 말린 것 같은 봉모양이다. 짙은 녹색바탕에 담록색의 가로줄무늬 모양이 들어 있으며 다수의 세로 물결 무늬가 있다.

후엽천세란(厚葉千歲蘭)[제이라니카]-Sansevieria trifasciata

아프리카가 원산으로 전에는 제이라니카라고 불리워지던 가장 보편적인 종류로, 잎은 길이 60cm~1m까지 자라는 다육피침형이고 끝은 예리하고 뾰족하다. 잎은 광택이 있으며 담록색과 짙은 녹색의 가로줄 무늬가 있다.

[Sansevieria trifasciata cv. Argenteostiata]
잎이 좁고 두터우며, 잎에 진한 녹색, 담녹색, 백색의 무늬가 세로로 있다.

[Sansevieria trifasciata cv. Craigii]
잎에 화색의 줄무늬가 불규칙하게 여러 개 있다. 성질이 약하고 일반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로 재배되지 않는다. 

산세베리아 황금하니[]-Sansevieria trifasciata cv. Golden Hahnii

하니종의 황복륜종(노란테두리)이다. 성질이 좀 약하다.

산세베리아 하니[]-Sansevieria trifasciata cv. Hahnii

후엽천세란 변종으로 키가 매우 작아 10-20cm정도 자라는 왜성종이다. 잎이 똑바로 퍼지지 않고, 근원에서 사방으로 퍼지며 잎이 잘 정돈되어 보기 좋다.

[Sansevieria trifasciata cv. Silver Hahnii]
잎은 난상타원형(卵狀楕圓形)으로 잎끝이 뾰족하나, 다른 종류와 같이 직립하지 않고 잎이 옆으로 전개되어 길이 10cm정도이다. 산세베리아 트리화시아타의 왜성종으로 여겨진다. 은녹색 바탕에 짙은 녹색의 가로줄무늬 모양이 약간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 매우 가는 진한 녹색의 복륜(覆輪)이 있다. 엽삽도 되나 지하아(地下芽)가 잘 발생되므로 분주번식을 한다. 

복륜천세란(覆輪千歲蘭)[]-Sansevieria trifasciata cv. Laurentii Compacta

로우렌티종의 왜성종이다. 키가 자라는 한도는 60cm로 더 자라지 않는다. 잎 가장자리에는 뚜렷한 황색의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Sansevieria trifasciata cv. Lourentii]
아프리카 원산으로 잎은 납질로 단단하고 가늘고 긴 잎이다. 잎 모양은 기부가 가늘고 잎의 2/3정도의 부분에서 가장 폭이 넓어지고 끝은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에 선황색의 복륜(覆輪)무늬가 아름답게 들어 있다. 보통 산세베리아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킬 정도의 대표종이다.

 

 

<출처: 비단선인장 http://www.cactus.or.kr/)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