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는 날의 엽서

'◆ 다육지식창고(Information)'에 해당되는 글 49건

  1. 2009.11.28 대극과 다육식물 종류와 재배 방법
  2. 2009.11.28 용설란과 다육식물 종류
  3. 2009.11.28 다육이 잎꽂이 하는 법
  4. 2009.11.28 다육식물 분갈이 하는 방법
  5. 2009.11.28 용설란과 다육식물 재배방법

RS Choi의 선인장 정원/줄기가 다육인 식물/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 "등대풀과")                                     

대극속(大戟屬, Euphorbia), 마풍수속(麻풍樹屬, Jatropha), 비취목속(翡翠木屬, Monadenium), 백작산호속(白雀 珊瑚屬, Pedilanthus)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 대극속(大戟屬, 유포르비아 Euphorbia)

일명 "등대풀"이라고도 불리우는 대극속 다육식물은 2000종 이상이나 될 정도로 많은 종이 있다. 중요한 분화도의 하나인 포인세티아와 같이 다육이 아닌 것들도 여기에 속하는데, 다육인 유포르비아는「다육 유포르비아」라고 한다. 다육 유포르비아는 선인장 못지 않게 종류도 많고 형태도 다양하여 실용성이 있는 종 들이 많이 있다.

유포르비아의 수액은 독성이 있으나 테르펜계 탄화수소가 함유되어 있어 석유식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많은 종들이 관상식물, 약재 또는 잡초로서 사람들과 중요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 가운데 키가 1m에 이르는 유럽산 소파두(Euphorbia lathyris)의 씨는 한때 완하제로 쓰이기도 했다. 대극속 식물은 전세계 곳곳에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자라고 있는데, 아프리카와 인도의 메마른 지역에서 자라는 많은 종들은 그 모습이 선인장과 비슷하다. 선인장처럼 보이는 종들은 가시가 달려 있고, 각이 진 줄기에는 즙이 많은데 키가 15m까지 자라는 교목인 동아프리카의 남만탑(南蠻塔, Euphorbia candelabrum)과 수정각(水晶閣, Euphorbia nyikae), 키가 6m 정도 되는 관목인 아프리카 남부 산 기린관(Euphorbia grandicornis)과 동인도 지방의 제금(Euphorbia lactea) 등이 이에 속하며 뒤의 2종은 따뜻한 지역에서 울타리용으로 심고 있다.

즙이 많지만 가시가 없으며, 곧게 6m 정도까지 자라는 줄기에 많은 가지가 손가락 모양으로 달리는 청산호(Euphorbia tirucalli)는 인도가 원산지이며, 아프리카와 열대지방 곳곳에서는 오두막 주변이나 가축우리의 울타리로 심고 있다. 멕시코산 유포르비아 안티시필리티카(Euphorbia antisyphilitica)는 청산호와 비슷하나 막대 모양의 회녹색 줄기는 1m 정도 자라고 가지가 없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데, 줄기 겉에서 광택제·양초·윤활유·종이방수제 등을 만드는 밀랍이 나온다.  약간 덩굴처럼 자라며 목본성 줄기에 가시와 잎이 무성한 꽃기린은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로 온대지역에서는 집 안에서 화분에 널리 심고 있으며, 열대지방에서는 뜰을 화려하게 꾸며주는 식물이다.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대극속 식물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멕시코 남부와 과테말라가 원산지인 포인세티아이다. 이 식물에는 주홍색을 띠는 포(苞:꽃 바로 밑에 붙어 있는 잎처럼 생긴 것)가 달려 있으며, 성탄절에 많이 쓰인다. 포인세티아말고도 멕시코 남부와 중앙아메리카에서 성탄절에 널리쓰는 식물로는 파스쿠타(Euphorbia leucocephala)가 있는데, 이는 키가 1.5~4m 정도인 관목이며 겨울에 조그맣고 하얀 많은 포들이 안개가 피는 것처럼 달린다. 이 나무의 어떤 변종들은 짙은 붉은색을 띠는 잎들이 달리기도 한다. 멕시코산 유포르비아 풀겐스(Euphorbia fulgens)는 키가 90㎝ 정도 되는 관목이며 줄기가 가늘고 주황색 포가 무리지어 있는데, 화분에 심어 기르기도 하며 겨울이 따뜻한 곳에서는 뜰을 꾸미는 관목으로 심기도 한다. 온대지방에서 자라는 다년생 관상식물로는 유럽이 원산지인 유포르비아 키파리시아스(Euphorbia cyparissias), 유포르비아 베나타(Euphorbia venata/Euphorbia wulfenii), 유포르비아 에피티모이데스(Euphorbia epithymoides), 유포르비아 카라키아스(Euphorbia characias) 등과 히말라야산 유포르비아 그리피티이(Euphorbia griffithii)가 있다.

유포르비아 키파리시아스는 공처럼 둥그렇게 생겼고 잎이 바늘 모양이며, 봄에는 금빛이 도는 포들이 식물체를 감싼다. 유포르비아 베나타는 키가 0.9~1.2m 정도이고 초록빛이 도는 노란색 꽃이 두상(頭狀)꽃차례로 피며 파란색이 도는 잎이 달린다. 유포르비아 에피티모이데스는 키가 약 30.5㎝ 정도이고 둥근 공처럼 생겼으며, 봄에 금색에서 밝고 옅은 황록색까지의 색을 띠는 꽃이 핀다. 유포르비아 카라키아스는 키가 0.9~1.2m 정도이고 여름에 구릿빛이 도는 노란 포가 달린다. 유포르비아 그리피티의 한 변종은 이른 여름에 불 타는 듯한 오렌지색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철갑환(鐵甲丸)[]-Euphorbia bupleurifolia

소철과 아주 비슷한 모양의 종류로 잎이 떨어진 후에 비늘모양의 돌기로 되어 구체를 싼다. 재배는 어려운 부류로 상급자용이라 말할 수 있다.

홍채각(紅彩角)[]-Euphorbia enopla

♠ 분포 : 남아프리카
♠ 형태 : 줄기직경 1.5~2cm인 기둥형이다. 표면은 진한 녹색으로 기부에서 분지하지만 분지수는 적다. 가지는 직립성으로 단단하고 생장은 느리다. 가시는 선홍색으로 굵고 길이는 3cm정도, 능수는 5~6개이며 능사이는 얕다.

대봉각(大鳳角)[]-Euphorbia coerulescens

♠ 분포 : 남아프리카
♠ 형태 : 다육질로 낮은 나무모양이며 높이 1.5m, 직경 3~4cm 정도로 직립한다. 줄기는 4~5릉, 가지는 3~4릉, 표면은 진한 녹색으로 백분을 띤다. 가시는 1쌍으로 어두운 갈색에 길이는 6~12mm정도이다. 체색(體色)은 진한 녹색에 백분을 띤다.

기린관(麒麟冠)[]-Euphorbia grandicornis

3능선의 줄기에 총채술모양의 퍼짐을 되풀이하면서 가지를 뻗어 가는 대형종이다.
줄기의 기부에는 많은 가시가 나며 분지하는데 굵고 긴 것이 특징이다. 가지의 능선은 3개로 직경이 6~8㎝이고, 능선의 육질은 날개처럼 얇으며 파상이다. 실생 or 삽목, 15~25℃


구갑기린금(Euphorbia mammillaris cv. Variegata)
육질 표면은 녹색으로 높이는 50∼60cm 정도, 능선의 가시는 1~1.5cm이며 여러개가 있다. 실생 or 삽목, 15~25℃   

구두룡(九頭龍)[]-Euphorbia inermis

둥근 줄기에서 문어다리 같이 가지가 벌어진다.
구두룡 철화

오채각(五彩閣)[]-Euphorbia ingens

기둥선인장과 같은 형태를 갖는 대형으로 자라는 종류로 가지가 잘 펴지며 날카로운 형태가 매력이다. 이와 같이 기둥모양으로 자라는 유포르비아의 종류는 모양이 잘 망가지지 않으므로 거실 안에서도 오래 즐길수 있다. ♠ 분포 : 아프리카
♠ 형태 : 자생지에서는 키가 수 m이상 된다. 줄기는 4~5릉으로 직경이 6~7cm이다.『가시는 적갈색으로 크며, 많은 변종이 있다.
채운각

제금(帝錦)[락테아]-Euphorbia lactea

♠ 분포 :인도, 스리랑카 (내한력) -2℃ (자생지 평균온도) 12℃
♠ 형태 : 키 2.1m정도의 관목형 다육식물로 모양 좋게 갈라진 가지의 모습이 아름답고, 수많은 줄기를 뻗는다. 줄기에는 대리석 무늬가 두드려져 있다.
♠ 광 : 반그늘
♠ 물주기 : 겨울엔 매우 건조하게 관리하고, 이외시기엔 규칙적인 관수 필요
♠ 번식 : 대부분의 대극속 다육식물 줄기 꺽꽂이시 절단 후 일주일가량 그늘에서 말려 심어야 한다.

춘봉(春峰) [제금철화, 일명"사슴 뿔"]- Euphorbia lactea cristata

♠ 형태 : 춘봉은 제금철화이며, 부채꼴을 한  볏모양의 분지가 기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뱀을 연상시키는 골이 만들어지는 재미있는 식물로 은회색의 무늬가 매력적이다.
♠ 광 : 양지바른 곳이나 반그늘에서 잘 자란다
♠ 물주기 : 물을 줄때는 충분히 주고 다음번 물을 줄 때까지 흙을 완전히 말린 다음 관수한다. 겨울에는 물주는 것을 자제하고 겨울내 한번정도만 준다. 키우는 과정 중 생장기 동안에 지나치게 물을 자주주거나 겨울철에 과습으로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 번식 : 꺾꽂이를 통해 번식한다. 꺾꽂이는 화분에 심기전에 3~4주정도 말린다.

꽃기린(花麒麟)[가시 면류관]-Euphorbia milli v. splendens

♠ 이명 : Euphorbia splendens
♠ 분포 : 아프리카 마다가스칼 열대 사막 (내한력) ℃ (자생지 평균온도) 10℃ (생육적온) 8~35℃
♠ 형태 : 매우 인기있는 수목형 가정식물로 일반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종이다. 많은 변종이 있는데, 줄기 굵기는 1cm~ 3.5cm, 높이는 120cm까지 자라고 온몸에는 억센 가시가 많은데, 한 가시 자리에서 두개 이상이 나오는 것과 한 개씩 나오는 종등 매우 다양하다. 줄기는 어두운 갈색으로 가지를 많이 치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시간이 지나면 떨어진다.

♠ 재배 : 저온에 약하고 반그늘을 좋아한다. 저온과 건조상태에서는 잎이 떨어지므로 적당한 수분을 연중 유지해 주는 것이 좋다. 겨울에도 개화를 지속코자 할 경우 10℃이상으로 보온한다
♠ 광 : 양지바른 곳이나 반그늘에서 잘 자람(고온의 직사광선은 피한다)
♠ 물주기 : 봄~가을이 생장기이므로 화분속의 용토가 완전히 마르지 않게 규칙적으로 관수. 수분 부족시 잎과 꽃잎이 작아진다. 겨울 휴면기외엔 잎이 낙엽지지않을 정도로 수분을 유지해주는 것이 좋다.
♠ 꽃 : 꽃잎은 없고 포가 변해서 꽃잎처럼 보이는데, 조건만 되면 연중 깔때기 모양의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몇 송이씩 모여 핀다. 꽃색은 흰색, 황색, 적색을 기본으로 약 100가지 색 이상이며, 꽃의 크기도 1cm~ 5cm의 큰 꽃 까지 다양하다. 한 꽃자리에서 발생한 꽃도 2~36개등 매우 다양하며, 꽃 수량이 많은 개체가 대부분 대형 종이다
♠ 번식 : 5∼6월에 줄기 꺾꽂이나 종자번식. 가지를 절단한 후 이틀정도 그늘에 놓아둔 다음 화분 중앙에 꽂으면 (온도가 따뜻할 경우) 쉽게 뿌리를 내리는 종이다.
♠ 용토 : 물빠짐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모래와 부엽, 밭흙을 똑같은 양으로 배합한다.
♠ 기타 : 줄기나 가시에 상처가 나면 우유빛 수액이 나오는데 이것은 독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에 닿으면 자극적이고 눈에 묻으면 매우 고통스런 통증을 느끼므로 주의한다

 

황옥(晃玉)-[오베사, 야구공]- Euphorbia obesa

♠ 분포 : 남아프리카 Great 카루 (내한력) -2℃ (자생지 평균) 7℃
♠ 형태 : 가시가 없는 회록색의 구형 식물로 적갈색 또는 자주색을 띤 가로줄무늬가 나는데 유묘종일때 둥그나 자중엔 짧은 원기둥 모양으로 20cm정도까지 자란다. 식물체는 자웅이체이며, 수액은 독성을 띤다.  
♠ 광 : 아침나절엔 햇볕이 드는 장소에, 이외시기엔 반그늘
♠ 물주기 : 휴면기인 겨울철엔 영상 4℃이상에서 매우 건조하게 관리(단수)하고 이외 시기엔 규칙적 관수가 필요
♠ 꽃 : 향기가 있는 미묘한 꽃이 식물체 정부의 짧은 화경 위에 작은 화서가 발달한다.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식물체에 핀다.
♠ 번식 : 종자번식
♠ 기타 : 자생지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에 속한다
황옥 "수컷"

백각기린(白角麒麟)[]-Euphorbia resinifera

♠ 이명 : Euphorbia sansalvador
♠ 분포 : 모로코 (내한력) -7℃; 짧은 시기 (자생지평균) 7℃
♠ 형태 : 몇 개의 줄기가 기부로부터 갈라져서 높이 150cm정도까지 자란다. 가지는 능이 4개로 직경은 3~4cm정도. 긴 구형으로 군생한다. 표면은 회백색 또는 푸른 녹색이다. 가시는 5mm 정도로 한쌍씩 난다.
♠ 재배 : 겨울철엔 건조하게 관리(가급적 단수)하고 이외 시기엔 규칙적인 관수
♠ 광 : 강광
♠ 번식 : 줄기 꺽꽂이

 

투우각(鬪牛角)[]- Euphorbia schoelandii

♠ 형태 : 외줄기로 줄기는 10~20cm 정도의 곤봉 모양이다. 높이는 130cm에 달한다. 대형의 혹을 소라 촉상으로 목질의 큰 뿔이 나오다. 이 뿔은 측지상 화경이 건조하여 굳은 것으로 구화는 각 기부에 이른다. 대형주는 재배가 곤란하다.

 

희기린(姬麒麟)[]-Euphorbia submammillaris

♠ 분포 : 남아프리카 케이프주 (자생지 평균온도) 7℃
♠ 형태 : 소형의 다육식물로 불규칙하게 기부에서 가지가 나와 폭 50cm정도 크기까지 군생한다. 줄기 직경은 1.2cm, 길이는 10cm. 아랫부분은 둥그나, 윗부분은 9~10릉으로 굵어진다. 능에는 7mm 간격으로 가로줄무늬가 들어있다. 가시는 가늘고 2cm 정도로 갈색이다.
♠ 재배 : 배수성이 매우 원활한 용토를 기준으로 늦봄에서 가을까지는 규칙적으로 관수하고, 휴면기인 겨울철엔 매우 건조하게 관리       ♠ 광 : 반그늘

분화룡(噴火龍) [비귀에리]-Euphorbia viguieri

♠ 분포 : 마다가스카르 서부 (자생지 평균온도) 15℃
♠ 형태 : 줄기의 높이 20~150cm의 둥글고 낮은 나무 모양이다. 잎은 편원형으로 크고 잎자루는 적색이다. 낙엽성. 갈색의 날카로운 거치형 능을 가진다
♠ 재배 : 매우 건조에 강한 대극속 식물로 강건한 종이며, 재배는 무난한 편이다.
♠ 광 : 반그늘
♠ 물주기 : 휴면기인 11월부터 3월까지 가급적 단수하고 영상 15℃이상 유지
♠ 꽃 : 꽃은 황색을 띤 적색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 비취목(翡翠木屬, Monadenium)속

동아프리카 열대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50여종의 비취목속은 외관상으로 거의 유포르비아속과 같으나, 화기 구조가 다소 다르기 때문에 분리되어 있다. 저온에 약한 탈락성 다육식물로 잎이 달려 있을 때가 생육기이므로 규칙적인 관수를 행하고, 휴면기인 겨울에도 영상의 기온을 유지함은 물론 매우 건조하게 관리해야 잘 자란다. 직접적인 직사광선보다는 약간 차광이 된 밝은 곳을 좋아하나 반그늘에서도 무난한 식물로 고온의 직사광선하에선 붉은 빛깔, 그늘에선 녹색으로 변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자문룡(紫紋龍) []- Monadenium guentheri

♠ 분포 : 동아프리카 열대지역 (생육적온) 10℃~30℃.
♠ 형태 : 작은 나무형태의 다육식물
♠ 재배 : 저온에 매우 약한 종으로 연중 따뜻하게 관리.
♠ 광 : 양지바른 곳(고온의 직사광선엔 차광)
♠ 물주기 : 최저온도 유지시 연중 규칙적인 관수
♠ 번식 : 줄기 꺽꽂이나 종자번식

릿케이 Monadenium ritchei

♠ 분포 : 동아프리카 케냐 (광) 반그늘 (생육적온) 8℃~35℃.
♠ 형태 : 채색은 밝은 녹색으로 낙엽성의 2~3cm 크기인 타원형의 도톰한 잎이 있고 휴면기에는 떨어진다.
            (높이) 약 60cm. (굵기) 3cm. 10cm 이상 성장하면 곁가지를 갖는다. 
♠ 재배 : 대극과에 속하는 다육식물로 몸체에 상처가 나면 하얀 액체가 나오는데 이것이 피부에 닿으면 알러지를 일으키기도 한다.
♠ 물주기 : 강건한 종이지만 고온 다습에 주의. 과도하게 물을 주면 뿌리가 쉽게 상하는 종이다.
♠ 꽃 : (화경) 2cm정도의 크기이며, 가을에 연분홍 꽃이 줄기 끝에서 여러송이 핀다
♠ 번식 : 종자나 삽목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 마풍수(麻풍樹屬, 야트로파 Jatropha)속

신대륙과 구대륙의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며 우유빛 즙액이 있는 풀, 관목, 교목 등 약 125종(種)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몇몇은 열대지방에서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거나 이들에 함유된 기름을 얻기 위해 심고 있다. 짧은 줄기로 아래쪽 부위가 부풀어 있는 산호유동(Jatropha podagrica)의 붉은색 작은 꽃송이는 1년 내내 달려 있으며, 잎은 5 갈래로 갈라져 있다. 남아메리카에서 자라는 천구엽단선(天狗葉團扇, Jatropha multifida)는 키가 3m쯤 자라며 11갈래로 깊게 갈라진 큰 잎, 붉은 산호색으로 무리지어 피는 작은 꽃으로 유명하다. 쿠바에서 자라는 야트로파 인테게리마(Jatropha integerrima)는 키가 약 5m에 달하고, 잎은 가래 모양으로 아래쪽에서 깊게 갈라지며, 심홍색의 꽃송이가 1년 내내 핀다. 금산호(錦珊瑚, Jatropha berlandieri)는 텍사스에서 중앙 아메리카까지 분포하며 키가 30㎝ 정도인 다년생 식물로, 자루가 긴 자주색의 꽃이 달린다. 야트로파 쿠르카스(Jatropha curcas)는 멕시코에서 중앙 아메리카까지 퍼져 있으며 키가 6m인 교목으로, 잎은 3~5갈래로 갈라졌으며 황록색의 꽃이 핀다. 요리용 기름, 비누, 강한 하제(下劑)를 만드는 데 쓰는 씨를 얻을 수 있다. 씨 자체는 독을 없애기 위해 구운 다음 먹을 수 있다. Jatropha속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크니도스쿨로스속(Cnidosculos)은 꽃받침 잎이 꽃부리처럼 피지만 꽃에 꽃잎이 없어 야트로파속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한국에는 1965년에 산호유동이 들어와 주로 온실 안에 심으며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붉은색 꽃이 핀다.

산호유동(珊瑚油桐)[]- Jatoropha podagrica

♠ 분포 : 온두라스, 니카라구아 (내한력) 5℃로 저온에 매우 약하다
♠ 형태 : 높이 40~150cm의 줄기는 굵고 목이 긴 술병 모양으로 비대하며 줄기에 오동잎 같은 큰 잎이 달리고, 꽃은 빨갛게 무리지어 피어 산호를 연상시키는 데서 명명된 것이다. 채색은 회색이나 새로 자라는 부분은 녹색이다. 윗부분이 분지하며 탐스러운 잎이 끝부분에 5~8매 달린다. 엽병은 길고 기부에는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잎이 떨어진 후에도 남아 있는다. 줄기나 잎의 우유빛 수액은 독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에 닿으면 자극적이고 눈에 묻으면 매우 고통스런 통증을 느끼므로 주의한다. 열매 또한 독성이 있다.
♠ 재배 : 햇빛 좋은 곳에서 비배관리하면 거의 1년 내내 쉴 새없이 계속 꽃이 핀다. 작은 화분에서는 거의 성장을 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식물줄기 굵기보다 4~5배 정도 큰 화분에 심어 관리해야 한다.
♠ 광 : 매우 강건한 종으로 강광을 좋아하고 가능한한 많은 햇빛을 받아야 잘 자란다
♠ 물주기 : 생육기인 봄철과 여름에 많은 물을 필요로 하지만 동절기에 과다 관수는 식물을 죽게 만든다.
♠ 꽃 : (화경) 10cm. 꽃은 작고 꽃잎은 다섯장이며 붉은색인데 암수 다른 꽃을 피운다.
♠ 번식 : 봄철에 종자나 줄기 꺽꽂이가 용이

 

<출처: 비단선인장 http://www.cactus.or.kr/)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

설란속(舌蘭屬, Agave), 복극란속(福克蘭屬, Furcraea), 주병란속(酒甁蘭屬, Nolina),
사란속(絲蘭屬, Yucca), Beaucarnia, Calibanus, Dasylirion, Hesperaloe, Manfreda

Agave parryi var. huachucensis

길상천(吉祥天)
Agave huachucensis

길상천(吉祥天)

길상천(吉祥天)

길상천(吉祥天)

농백사(瀧白絲)
Agave schidigera

취상(吹上)
Agave stricta

Agave cucullata

Agave cucullata variegata

Agave potatorum Kichijokan(?)

뇌신(雷神)
Agave cucullata

뇌신금(雷神錦)

왕비뇌신

왕비뇌신

티토나타
Agave titanota

티토나타

Agave attenuata

Agave utahensis var. nevadensis

세설(笹雪, 王妃龍舌蘭)
Agave victoriae-reginae

세설(笹雪)

세설금(笹雪錦)

초연(初綠)

청자룡(靑磁龍)
Agave nevadensis

용설란(龍舌蘭)

Agave americana var. medio-picta f. alba

Agave attenuata

Agave americana var. margiana

Agave americana var. margiana

화엄(華嚴)
medio-picta f. alba

초록(初綠)

용설란(龍舌蘭)
var. margiana 

용설란(龍舌蘭)

"멕시코 상록수"
Dasylirion longissimum

설낭(雪娘)
Aloe pratensis

용설란

 명린금(明鱗錦)

 노회(蘆繪) "베라"

 능금(綾錦)

불야성(不夜城)
Aloe nobilis

불야성(不夜城)

Agave filifera

Agave attenuata

난설(亂雪錦)
Agave filifera 

난설금(亂雪錦)

Agave 'Merico Nishiki'

오색만대(五色万代)

오색만대(五色万代)

초록(初綠)
Agave attenua

<출처: 비단선인장 http://www.cactus.or.kr/)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

아래 사진과 설명을 참고하세요 . 잎껒이 잘하시는 분의 글을 가져왔답니다 .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수 있답니다  .

겨울에 갑자기 잎꽂이에 재미를 붙여서 시작을 하는데...잎꽂이 하는 재미가 쏠쏠하네요~

제가 잎꽂이 하는 스타일을 말씀 드리면...

1. 왕창 뜯는다.

다육이 구입하고 정말 눈코입만 남기도 다 뜯는다 싶을 정도로 잎을 뜯습니다...

지금 당장은 보기 싫지만..1년이라는 시간이 지나면 모체는 모체대로 목대가 늘어나서 좋고 잎꽂이들은 잎꽂이대로 식구수 늘여서 좋고~

2. 무조건 잎꽂이 잘되는 다육이로 구입한다..

잎꽂이 잘되는 다육이라면 거의 국민 다육이더라구요..

나름 불량다육을 구입하지 않게 되는 비법이지요~ ㅋㅋㅋ

그리고 잎꽂이가 잘되게 하는 비법이랍니다...ㅎㅎ

 

1. 잎은 통통한 잎을 뜯는다

요건 당연한 말씀이구요..잎꽂이가 비교적 잘되는 잎은 아래쪽 잎보다는 중간잎이라고 하네요..그리고 잎을 뜯기 전에 물을 흠뻑 멕이고 이틀 정도 지나서 잎을 뜯어 주세요~

하루 지나서 잎을 뜯으면 너무 통통해서 잎이 부러지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2. 잎을 흙위에 올려 놓고 뿌리나 아가가 나오기 전까지는 물을 주지 않는다..

뿌리가 아가가 나오기 전에 물을 주면 잎 자체가 물러져 버린답니다..

 

3. 뿌리가 나오면 뿌리를 흙으로 덮어주고 물을 흠뻑준다..

이 부분에서 잎꽂이 하시는 분들에 따라서 노하우가 다르시더라구요~

그런데 제가 여러 고수님의 노하우를 종합해 본 결과..이렇게 뿌리가 나왔을 때부터 물을 흠뻑 주는 것이 좋은것 같습니다..

혹시나 잎꽂이가 무를까봐 스프레이만 하시거나 물을 아예 주지 않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러면 아가들이 더디 자라더라구요..

제 경우에 물을 흠뻑 주면 아가들이 자라는데 눈에 보일 정도로 빨리 자라더라구요^^

 

4. 아가들이 나오면 반드시 빛이 잘 드는 곳에 둔다..

잎꽂이 아가들의 경우 쉽게 웃자랄 수 있답니다..지금처럼 추운 날씨에는 그나마 웃자람이 덜하지만..여름처럼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햇빛을 적게 받으면 심하게 웃자랍니다..

물을 많이 주는 대신에 필히 충분한 햇빛이 필요하답니다..^^

 

 

5.  이제부터는 겉흙이 마르면 물을 흠뻑 줍니다..

잎꽂이 아가들의 경우 다 큰 다육이들에 비해서 물을 더 많이 필요로 하는것 같습니다..

다 큰 다육이처럼 물을 주면 좀 더디 자라구요..물을 많이 줘도 죽지 않고 잘 자라네요^^

 

6. 아이언 나이트나 싱싱코트 같은 알갱이 비료를 뿌려준다..

이 경우도 고수님의 노하우 인데요..잎꽂이의 경우 다 큰 다육이 보다 영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고..영양분이 어느 정도 있어야 더 튼튼하게 자란답니다..

제 경우에는 아이언나이트나 싱싱코트 같은 알갱이 비료를 잎꽂이들 사이사이에 두어서 물을 주면 자연스럽게 영양분이 녹아 들어가게 한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다육이 잎꽂이용 흙을 쓸때 양분(퇴비상토)의 양을 좀더 많이 넣어 주는 방법이랍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요건 순전히 제가 잎꽂이 하는 방법이구요...

저 처럼 국민 다육이들 왕창 잎꽂이 할 때 사용하시면 좋답니다..

불량 다육이들 이런 방법으로 하셨다가 실패하셨다면..제가 책임을 못지거덩요~

잎꽂이 시작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

 

이글은,jang Ha Rim' 님.의 글을 제가 편집한 것입니다...

 

글쓰신 분의 당부글...

이번에 제가 구입한 일본 책에서 스캔해서 올립니다. ^^

이런 정보도 공유되면 좋겠지요. 도움이 조금이나마 된다면 좋겠어요.

 

이 정보는 퍼가셔도 됩니다.

단 절대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이 이미지의 저작권은 책의 출판사에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올리시는 곳에는 반드시 원문의 주소를 적어주세요.적어도 그것이 올린 사람에 대한 예의라 생각합니다. 

 

 

초보를 위한 사진으로 보는 다육 분갈이 방법- 잔뿌리가 많은 다육의 경우

 

이번에는 다육 분갈이 방법을 알아보죠.

잔뿌리가 많은 다육이들을 분갈이 하는 방법인데 사실 글로는 많이 올라왔으나

이렇게 사진으로 보니 알기도 편해서 초보분들이 보시면 참 편하겠다는 생각에 스캔해서 올립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딱보니 많이 커서 분이 작아보이는군요. 이제 분갈이를 할 시기가 된 거죠.

    꽃안등(花うらら)이라는 에케베리아속의 다육입니다.

2. 분 주위를 가볍게 두들겨서 분으로부터 빼냅니다. 뿌리가 많이 나 있군요.

3. 붙어 있는 흙을 털어내 뿌리를 가볍게 만듭니다.

4. 1/3정도만 뿌리를 남기고 잘라냅니다. 검게 된 뿌리가 있으면 썩은 것이므로 역시 잘라냅니다.

5. 뿌리 근처에 붙어 있는 오래된 잎은 제거합니다. 뿌리등이 썩을 수 있는 원인이 된다고 하네요.

6. 정리가 다 되었다고 판단되면 통풍이 잘되고 그늘에서 2-3일간 뿌리를 건조시킵니다.

7. 원래의 화분보다 큰 화분을 준비하고 화분의 1/3높이를 굵은 마사토로 채웁니다.

   (물이 잘 빠지라고 넣는겁니다..^^)

8.  흙을 조금 더 넣고 뿌리를 넓게 펼쳐서 화분 가운데에 놓습니다.

9. 이제 흙을 다육이 뿌리 주변으로 살살 넣어주시고요 화분의 높이 90%까지 흙을 넣어줍니다.

10. 화분의 주변을 가볍게 쳐서 흙이 자리잡도록 합니다.(혹은 바닥에 가볍게 쳐주어도 됩니다.)

    대략 4-5일간 밝은 그늘에서 놓아 둡니다. 물론 이 때 물을 주지 마세요.

    (초보들이 실수하기 쉬운 부분입니다.)

 ->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다육이들 자체에 수분이 있기 때문에 굳이 줄 필요가 없고

분갈이 자체가 스트레스이기 때문에 그늘에다 두어 뿌리가 쉬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보통 일주일이 지나면 물을 조금 줍니다. 그리고 그 후에는 정상적으로 관리하시면 되겠습니다.

 

초보를 위한 사진으로 보는 다육 분갈이 방법- 뿌리가 두꺼운 다육의 경우 

 

사진으로 보는 시리즈 3번째입니다.

이번에는 분갈이 방법 2번째로 뿌리가 두꺼운 경우이죠.

사족으로 오늘 바이올렛 퀸을 하늘나라로 보냈지만 그 슬픔을 이기고 글을 올려 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은월입니다. 화분 주변을 가볍게 쳐서 잡아 빼기 쉽게 한 후 뽑아 냅니다.

2. 살살 흔들면서 흙을 완전히 털어냅니다. 뿌리가 상처 입지 않도록 매우 조심하세요.

3. 좀 더 큰 화분에 마사토, 흙 순으로 넣어서 심고 화분 주변을 가볍게 쳐주어서 흙이 자리잡도록 합니다.

4. 심는 것이 끝나면 바로 물을 가볍게 주고 본래 있던 장소에서 관리합니다.

-> 이 부분이 좀 다릅니다. 뿌리가 자잘한 아이들은 물을 곧바로 주지 않는데

    은월처럼 뿌리가 두꺼운 아이는  물을 바로 준다는 점이 포인트이고

    굳이 햇빛이 적게 드는 위치에 둘 필요가 없다는 점도 다르군요.

 

 

초보를 위한 사진으로 보는 좋은 다육 고르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A. 잘아시는 흑법사입니다. 좌측이 좋은 로제트의 형태이고

    오른쪽은 햇빛이 부족한 상태로  잎이 아래로 쳐지고 색도 연한 상태이지요.

 

B. 화제입니다. 좌측이 좋은 상태이고 오른쪽은 웃자란 형태죠.

 

C. 월영이라는군요.(엘레강스랍니다..--;)

    좌측이 좋은 형태이고 백분이 올라 잘 자랐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 고사옹입니다. 좌측을 보면 잎에 색이 잘물드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E. 쿠메의 마을입니다. 역시 잎에 붉게 잘 물들어 있는 좌측이 좋은 상태입니다.

 

F. 을녀심입니다. 좌측의 붉게 끝에 물든 상태가 역시 좋은 상태입니다.

 

당연한 내용이지만 잘 모르시는 초보분들을 위해 제가 스캔해서 설명을 잠깐 해보았습니다.

작은 정보지만 티끌모아 태산이지요~^

 

 

 

 

사진으로 보는 다육이 곰팡이 걸린 경우 치료하기

 

 

 

-하엽에 곰팡이 병이 걸린경우

 

이번에는 곰팡이가 하엽에 걸린 경우 치료하는 것을 사진으로 보시겠습니다.

사진에 나온 아이는 에케베리아 속의 화이트로즈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곰팡이로 인해서 너덜너덜해진 잎을 떼어내 제거합니다.

2. 곰팡이가 든 부분을 세심하게 완전히 긁어 떼어냅니다.

3. 흑을 털어내고 가볍게 뿌리를 풀어주고 뿌리의 3분지 1만 남기고 잘라냅니다.

4. 분말상태의 살균제를 뿌리 부분에 듬쁨 발라주고 일주일간 밝은 음지에서 건조시킵니다.

 

 

 

 

뿌리에 곰팡이병에 걸린경우-뿌리가 가는 타입

 

곰팡이병이 뿌리에 걸린 경우 뿌리를 치료하는 것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에 나온 아이는 킹스타라고 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시들어가는 다육이를 화분에서 빼내어 보면 뿌리가 곰팡이병에 걸려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병든 뿌리와 오래된 잎을 제거하면 가늘고 하얀 새로운 뿌리가 나와 있는데

    이것들을 소중히 다루어야 합니다.

3. 화분 바닥에 마사토를 깔고 그 위에 마른 흙을 넣고 1cm정도의 구멍을 만듭니다.

4. 다육이를 올려놓습니다. 4~5일간 물을 주지 않습니다.

    밝은 음지에 놓아두고 그 후 통상적으로 관리합니다

 

 

 

사진으로 보는 다육이 아픈 증세들

 

 

 

 -다육이가 화상을 입은 증세로

   잎이 늘어지면서 시들해집니다

 

   얼룩이 생기죠.

   다육을 실외로 내놓을 때는

   갑작스럽게 내놓으면 안되고

   조금씩 강한 햇빛을 쬐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곰팡이가 생긴 증세입니다.

   살균제등을 미리 미리 뿌려야겠죠?

 

-공중뿌리가 난 증세입니다.

  이런경우는 뿌리부분을 보라구 하네요.

  흙이 딱딱하거나 뿌리가

  제대로 수분과 영양분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생긴다고 합니다.

  요점은 뿌리를 함 보시고

  새로 분갈이 해주심이 좋다는 것

 

-깍지 벌레입니다.

  뭔가 하얀게 보이죠?

  혹은 하얀 솜털 같은게 보입니다.

  혹은 끈적끈적한 검은 흔적이

  스프레이처럼 뿌려져 있거나 하는 경우는

  일반 깍지라고 하네요.

  솜털처럼 보이는 것은

  하얀솜털깍지라고 합니다.

  이 솜털까지는 약뿌려도 안죽기 때문에

  골치 아프다고 하네요.

  우유를 뿌리라는 분도 있더군요.

  일단 보이는 즉즉 잡아야겠죠?

  약도 뿌려주고요.

 

-이건 실외에 놓았을 때

  나방이 알을 낳은 경우입니다.

 

  주의 깊게 살펴보셔야겠죠~

 

-이건 물을 많이 줘서

  살이 터진거라네요.

 

  뭐 크게 문제는 안되지만

  좀 모습이 안좋죠..--;

  저도 이렇게 되었죠.T.T

 

-과습으로 인해서 입이

  쭈글쭈글해진 경우라고 합니다.

 

  사진에 보이는 것은 복랑인데

  복랑은 과습에 약하다고 합니다.

  이렇게 과습에 약한 다육이는

  물주는 것에 주의를 요한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장하림'님께서 포스팅 한것을 제가 재 편집 했습니다....

 

전 앞으로 다른분들의 병해에 대한 글들도 모아 게속 업데이트 할 생각입니다...

 

<출처: 행복한들꽃과 다육사랑 카페에서>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

RS Choi의 선인장 정원/다육식물 특징 및 재배방법/잎이 다육인 식물/용설란과(龍舌蘭科, Agavaceae)                    

설란속(舌蘭屬, Agave), 복극란속(福克蘭屬, Furcraea), 주병란속(酒甁蘭屬, Nolina),
사란속(絲蘭屬, Yucca), Beaucarnia, Calibanus, Dasylirion, Hesperaloe, Manfreda

용설란과(龍舌蘭科, Agavaceae )

용설란속(龍舌蘭屬, Agave), 복극란속(福克蘭屬, Furcraea), 주병란속(酒甁蘭屬, Nolina), 사란속(絲蘭屬, Yucca), Beaucarnia, Calibanus, Dasylirion, Hesperaloe, Manfreda

용설란과(Agavaceae) 용설란속(龍舌蘭 : Agave)속

멕시코를 중심으로 북미, 남미, 서인도제도 등이 원산이며 약 300여종이 있는데, 따뜻한 지방에서는 정원이나 울타리에 심어 관상수로 이용된다. 보통 외줄기로 성장하나 때때로 기는 줄기(runner)가 발생해 자주(子侏)가 생긴다. 꽃을 피우기 위해 영양을 다 소모하고 꽃이 진후 단기간에 죽으며 죽기전에 기부에 새로운 개체를 남긴다.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다육의 잎이 로젯트상으로 총생한다. 꽃통은 보통 통모양이고 수술은 6개이며 씨방은 하위(下位).
이 속의 잎에서는 섬유 또는 줄기부분을 발효시켜서 테킬라 등 술의 원료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용설란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Agave americana로 정원수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소형종으로 잎에 무늬가 있거나 가시가 아름다운 것은 분 식물용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속의 식물은 주로 잎에서 얻어지는 섬유 때문에 중요하다. 사이잘(Agave sisalana)에서 얻어지는 사이잘 삼(sisal hemp)은 가장 값비싼 경질의 섬유이다. 헤네켄 섬유(henequen fibre)는 아가베 포우르크로요이데스(Agave fourcroyoides)로부터, 칸탈라 섬유(cantala fibre) 또는 마닐라 마게이 섬유(Manila-Maguey fibre)는 천수관음(千手觀音,浦島 ; Agave cantala)으로부터 얻는다. 용설란속 식물의 일부 종에는 수액이 들어 있는데, 이를 발효시켜 치즈 향이 나는 용설란주(pulque)를 만들고 있다.


    [대형종] 바늘모양의 잎을 가진 취상(吹上, Agave stricta "고슴도치용설란")
    [중형종] 잎에 흰 테두리나 줄이 있는 세설(笹雪, Agave victoriae-reginae), 흑색가시 Agave parryi.
    [소형종] 희난설(Agave parviflora), Agave barviflora, Agave pumila, 뇌신(雷神, Agave potatorum)

♠ 형태 : 잎이 자주 발생해 규칙적으로 포기 외부를 에워싼다. 근출엽(根出葉, rosette) 폭이 대부분 1m가 넘는 대형종이나, 재배할 경우에 그 절반 정도밖에 자라지 않는다.
♠ 재배 : 겨울에는 최소 0℃이상 유지시켜 건조한 상태로 월동하도록 한다.
♠ 분갈이 : 4월경이 최적이며, 생장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수년동안 다시 심을 필요가 없다. 큰 화분보다는 다소 적은 화분에 심어 관리하는 것이 좋다. 특히 화분의 아래쪽은 굵은 자갈을 넣어 배수가 원활하게 한다. 이식후엔 흙을 단단하게 다져준다
♠ 비료 : 배양토는 유기질을 풍부하게 넣고 배수가 잘되도록 한다.
♠ 관수 : 다른 다육식물과는 달리 여름이 성장기이므로 충분한 급수가 요구된다.
             극한 가뭄에서도 잘견디나 뿌리가 쉽게 상하는 단점이 있어 배수가 원활한 용토에 심고 규칙적인
             관수가 필요
♠ 번식 : 봄에 종자나 밑둥이에서 발생한 자주(子侏, Pup)로 번식

용설란(龍舌蘭) [Century Plant, Maguey]- Agave americana

♠ 이명 : Agave altissima, Agave communis, Agave complicata, Agave felina, Agave fuerstenbergii, Agave gracilispina, Agave ingens, Agave melliflua, Agave milleri, Agave picta, Agave ingens var. picta, Agave ramosa, Agave rasconensis, Agave spectabilis, Agave subzonata, Agave theometel, Agave americana var. theometel, Agave variegata, Agave virginica, Agave zonata

♠ 분포 : 멕시코 동부 (내한력) -8°C (평균) 10°C
"            "냉해를 받은 후 회복이 느린종으로 저온에 유의"
♠ 형태 : 기부 근출엽(根出葉, rosette)의 폭 3m, 잎은 20∼30개. 잎은 바소꼴로 두터운 청백색이며 잎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줄기 중앙의 녹색과 가장자리 노란색이 대비되어 매우 아름다운 종이다. 노란색부분은 엽록소가 없기 때문에 녹색으로만 되어 있는 용설란에 비해 생장이 더디다.  
♠ 꽃 : (개화시기) 10∼15년(최소 8년)이 지나야 꽃이 핀다.
(크기)  길이 9㎝, 화대 5∼8m 
(형태) 로제트의 중심에서 굵은 꽃대가 5∼8m정도 매우 높게 자라, 원추꽃차례에 많은 황록색 꽃(아스파라거스와 흡사)이 핀다. 꽃이 핀 뒤 단복지(短匐枝)를 남기고 그루는 말라죽는다.
♠ 광 : 고온의 직사광선을 좋아한다.
♠ 재배 : 성장속도가 빠른 종. 여름이 성장기이므로 충분한 급수가 요구되나, 극한 가뭄에서도 잘견디므로 뿌리가 쉽게 상하므로 배수가 원활한 용토에 심고 규칙적인 관수가 필요
♠ 번식 : 종자나 밑둥이에서 발생한 자주(子侏, Pup)로 번식
♠ 기타 : 테킬라(tequila)라는 술을 만드는데 원료로 사용된다.

초연(初綠) [강아지풀 용설란] - Agave attenuata  "총상화서가 강아지 풀을 닮은 종"

♠ 이명 : Agave cernua, Agave debaryana, Agave glaucescens Hooker, Agave kellocki, Agave pruinosa

Agave attenuata

♠ 분포 : 멕시코.  (내한력) -1°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근출엽(根出葉, rosette)의 폭 1.5m, 높이 1.5m로 잎 가장자리에 가시가 없는 종이다.
♠ 꽃 : (개화시기) 10년이 지나야 꽃이 핀다. (화대) 2~4m, 황녹색
♠ 재배 : 무난하고 강건한 종으로 반그늘에서만 키워야 하는 종이다.
본 종은 열대지방에 자생하는 관계로 다른 용설란속에 비해 저온에 민감하고, 아리조나의 뜨거운 태양을 싫어해, 빈번한 관수는 불필요.
♠ 번식 : 종자나 밑둥이에서 발생한 자주(子侏, Pup)로 번식

만년청(萬年靑) [Maguey Lechugilla ]-Agave angustifolia 'Marginata'

♠ 이명 : Agave breedlovei, Agave costaricana, Agave elongata, Agave endlichiana, Agave excelsa, Agave ixtli, Agave jacquiniana, Agave letonae var. marginata, Agave marginata, Agave pacifica, Agave panamana, Agave prainiana, Agave yaquiana, Agave zapupe

♠ 분포 : 멕시코 Jalisco.  (내한력) -4°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근출엽(根出葉, rosette)의 폭 90cm이상, 높이 2m이상.
♠ 광 : 고온의 직사광선을 좋아하는 종.
♠ 관수 : 건조하게 관리
♠ 번식 : 자주(子侏, Pup)에 의한 번식이 용이
♠ 꽃 : (화대) 3~5m, 황녹색

 

아가베 파리 - Agave parryi var. parryi

♠ 이명 : Agave chihuahuana, Agave americana var. latifolia, Agave patonii, Agave chihuahuana, Agave scabra, Agave wislizeni
♠ 분포 : 아리조나, 뉴멕시코 표고 1200~2700m (내한력) -7°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채색이 녹회색으로 국화과의 아티초크와 흡사한 용설란. 근출엽(根出葉, rosette) 폭 90cm, 높이 60cm로 잎 가장자리와 끝에 흑색의 가시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 있는 종이다.

♠ 재배 : 강건하고 무난한 종에 속한다. 메마른 땅이나 극한 건조에 잘 견디나 배수가 원활해야 한다. 작은 화분에 심었을 경우 뿌리의 성장장애로 인해 말라 죽을 수가 있으므로 가급적 큰 화분에 심어 관리
♠ 꽃 : 용설란속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종으로 20년 정도 지나야 소형의 황색~주황색 꽃이 핀다. (화대) 4.5m
♠ 번식 : 종자나 밑둥이에서 발생한 자주(子侏, Pup)로 번식
♠ 광 : 고온의 직사광선을 좋아하는 종.
♠ 관수 : 여름이 성장기이므로 충분한 급수가 요구되나, 뿌리가 쉽게 상하므로 배수가 원활한 용토에 심고 규칙적인 관수가 필요

 

길상천(吉祥天)[]-Agave parryi v. huachucensis

♠ 이명 : Agave huachucensis, Agave applanata var. huachucensis
♠ 분포 : 아리조나, 뉴멕시코 Sonora (내한력) -10°C (자생지 평균온도) 10°C (생육적온) 16~30℃

Agave parryi var. huachucensis

♠ 형태 : 기부에 잎이 밀집된 로제트 형상을 하고 있지만 간혹 런너가 발생한다. 다육질의 잎은 백분의 회백색을 띤 녹색이다. 기본 종보다 잎이 크며, 끝은 뾰족하고 가시는 짙은 갈색. 엽촉 35cm. 길이 65cm정도.
잎의 색깔은 흰색의 분으로 약하게 피복된 청록색을 띄우며 잎 가장자리에는 가시가 있다. 잎 끝부분의 흑갈색 가시는 길이 5~6mm정도로 굵고 단단하다. 잎 주변의 가시는 2~3cm 간격으로 나있고, 길이는 3~5mm정도이다. 근출엽(根出葉, rosette) 폭 120cm, 높이 90cm로 잎 가장자리와 끝에 흑색의 가시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 있는 종이다.
♠ 광 : 햇빛을 좋아하므로 반그늘 상태의 밝은 곳에서 관리. 
♠ 관수 : 건조에도 강하지만, 마르지 않게 관리한다. 여름이 성장기이므로 충분한 급수가 요구되나, 뿌리가 쉽게 상하므로 배수가 원활한 용토에 심고 규칙적인 관수가 필요
♠ 번식 : 종자나 밑둥이에서 발생한 자주(子侏, Pup)로 번식
♠ 용토 : 배양토는 유기질을 풍부하게 넣고 배수가 잘되도록 한다. 특히 화분의 아래쪽은 굵은 자갈을 넣어 배수에 신경쓰고 다시 심을 때는 흙을 단단하게 다져준다.
♠ 분갈이 : 4월경이 최적. 생장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수년동안 이식할 필요는 없다. 큰 화분보다는 다소 적은 화분에 심어 관리하는 것이 좋다.

 

뇌신(雷神)[]-Agave potatorum

Agave cucullata

♠ 이명 : Agave scolymus, Agave verschaffletii
♠ 분포 : 멕시코 Oaxaca, Chiapas, Puebla
♠ 형태 : 직경 20~25cm 정도로 보통은 외줄기 이나 작은 묘일 때에는 자주가 생겨 군생주로 되기도 한다. 엽폭은 7~10cm, 길이는 15~20cm정도, 잎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며 특히 잎끝 부분은 요철이 심하다. 엽색은 백분을 띤 녹색이다. 잎끝 가시길이는 1.2~6cm이고 갈색으로 조금 구불구불하다. 잎 가장자리의 가시는 0.5~3cm간격으로 나있으며, 길이는 0.3~1.5cm정도이다.
♠ 광 : 고온의 직사광선을 좋아하는 종으로 매우 건조하게 관리.
♠ 번식 : 봄~여름에 종자나 밑둥이에서 발생한 자주(子侏)로 번식
♠ 기타 : 본 종은 알콜음료를 만드는 원료로 이용
♠ 용토 : 배양토는 유기질을 풍부하게 넣고 배수가 잘되도록 한다. 특히 화분의 아래쪽은 굵은 자갈을 넣어 배수에 신경쓰고 다시 심을 때는 흙을 단단하게 다져준다.
♠ 분갈이 : 4월경이 최적. 생장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수년동안 이식할 필요는 없다. 큰 화분보다는 다소 적은 화분에 심어 관리하는 것이 좋다.

취상(吹上)[고슴도치용설란]-Agave stricta

♠ 이명 : Agave striata var. stricta, Agave hystrix
♠ 분포 : 멕시코 Puebla (내한력) -4°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잎 끝이 바늘 모양으로 뾰족한 취상은 고슴도치 용설란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종이다. 초기에는 외줄기이나 오래되면 줄기를 신장하여 가지치기 한다. 직경 90cm, 높이 60cm까지 성장. 엽수가 매우 많으며 구형을 이루는데, 엽폭 6~10mm. 길이 25~30cm 정도이며 가늘고 둥근 막대기 모양이다. 잎은 방사상으로 직립하며, 늘어지는 것이 없다. 엽색은 백색을 띤 회녹색이다. 잎 끝의 가시는 곧으며 예리하고. 길이는 2~2.5cm 정도. 적갈색에서 회색으로 변한다.
♠ 광 : 직사광선 보다는 반그늘에서 잘 자라며 비교적 건조하게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온에 강해 -4℃까지도 저온에 견딜 수 있다.
♠ 번식 : 종자

 

희난설 [Twin Flower Agave] - Agave geminiflora

♠ 분포 : 멕시코 (내한력) -4℃
♠ 형태 : 기부에 잎이 밀집된 로제트 형상을 하고 있지만 간혹 런너가 발생한다.
♠ 관리 : 저온에 강한 종으로 직사광선 보다는 반그늘에서 잘 자라며 비교적 건조하게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번식 : 종자

 

아가베 티토나타 Agave titonata

Agave potatorum Kichijokan

♠ 분포 : 멕시코 Oaxaca (내한력) -3°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보통 단구로 직경 75cm까지 성장. 잎수가 다른 종에 비해 그리 많지 않으며 늘어지는 것이 없다. 잎 끝의 가시는 고동색으로 위를 향한다
♠ 광 : 고온의 직사광선을 좋아하는 종.
♠ 관수 : 건조하게 관리
♠ 번식 : 종자

 

청자룡(靑磁龍)[]-Agave utahensis v. nevadensis

♠ 이명 : Agave nevadensis
♠ 분포 : 미국 California, Nevada. (내한력) -18°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자주를 내어 군생한다. 직경은 0~30cm정도, 엽색은 백분을 띤 청록색이며 길이는 12~20cm 정도이다. 잎둘레는 약간 물결모양이며 2~3cm 간격으로 1.5~3mm의 25~30cm 굽은 가시가 있다. 선단의 가시는 가늘고 길이 3~9cm 정도이며, 대부분 곧으나 간혹 구불구불한 것도 있다. 가시색은 암갈색에서 회백색으로 변한다.
♠ 광 : 고온의 직사광선을 좋아하는 종.
♠ 관수 : 건조하게 관리
♠ 번식 : 봄이나 여름에 종자나 자주(子侏)로 번식

 

세설(笹雪,王妃龍舌蘭)[빅토리아 여왕]-Agave victoriae-reginae

♠ 이명 : Agave ferdinand-regis, Agave consideranti, Agave nickelsii
♠ 분포 : 멕시코 (내한력) -11°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작은 묘일 때에는 자주가 잘 생기나 크면 외줄기로 된다. 직경은 45cm정도. 잎 폭은 3~7cm 정도로 약간 끝이 가늘며, 길이는 10~30cm. 단단하며 진한 녹색이고, 잎의 앞.뒤에 선명한 흰색의 경계선이 있으며 잎둘레도 흰 각질상의 선으로 둘러 싸여있다. 완벽한 좌우대칭인 잎의 모양이 매우 아름답다.  각 잎의 끝에는 짧고 튼튼한 흑색의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 재배 : 성장이 더딘 종으로 관수를 가급적 줄여 관리. 여름철 실외에 두고 관리해도 무난한 종. 환경에 따라 희선이 없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다시 생기지는 않는다.
♠ 광 : 고온의 직사광선을 좋아하는 종.
♠ 꽃 : 40년이상 성장해야만 암녹색의 꽃을 볼 수 있는 식물로, 꽃이 진 후엔 생명을 마친다.
♠ 번식 : 봄이나 여름에 종자나 자주(子侏)로 번식

 

용설란과(龍舌蘭科, Agavaceae) 복극란(福克蘭屬, Furcraea )속

 

만년청 []- Furcraea selloa v. marginata

콜롬비아가 원산지로, 잎은 용설란잎보다는 좁고 얇으며 긴타원형이다. 기부보다는 중간이 약간 넓으며 상부는 뾰족하다. 엽색은 밝은 녹색이며 잎 가장자리엔 세로로 노란줄 무늬가 나 있고 날카로운 가시가 규칙적으로 붙어 있으며 엽면은 약간 파상을 나타낸다. 반그늘을 좋아하며, 규칙적인 관수가 필요하다. 내한력 5℃이고, 분주로 번식한다.

용설란과(龍舌蘭科, Agavaceae) 주병란(酒甁蘭屬, Nolina )속

 

도꾸리난 [Pony Tail Plant]-Nolina recuvata

♠ 분포 : 멕시코 (내한력) -7°C로 저온에 매우 강한 건생식물로 다육식물로 취급하지 않는다.
            (생육적온) 0 ℃ ~35℃
♠ 형태 : (높이) 4.5m, (구경) 1m, 잎의 길이 1m, 잎의 폭 1~2cm. Nolina속은 아가베의 작은 속에 속한다. 이종은 아나나스과로 분류를 하기도 하며, 드라세나, 유카와 함께 대표적인 사막 식물이다.
♠ 재배 : 매우 강건한 종으로, 주근이 없이 5~10mm 굵기의 뿌리를 갖고 있어 큰 어려움이 없다. 호비(好肥)성 식물로 속성 재배가 가능 하다. 지상부의 밑부분은 비대한 덩어리가 형성되며 여기에 수분을 저장한다.
♠ 물주기 : 성장기에 물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잎끝이 마르지 않는다. 화분의 배양토가 마르면 충분히 물을 준다.
♠ 꽃 : 백색. ♠ 번식 : 종자나 분지

 

용수과(龍樹科, Didiereaceae)  유카(Yucca )속

북아메리카 남부가 원산지이며, 40여 종(種)의 다육식물로 이루어진 이 속의 대부분종들은 줄기가 없으며 뻣뻣한 잎은 칼 모양으로 아랫부분에서 로제트를 이루고 매끈한 흰꽃은 무리지어 핀다.
유카 브레비폴리아(Yucca brevifolia)는 줄기가 10m가 넘기도 한다. 천수란(Yucca aloifolia)·유카(Yucca gloriosa)·실유카(Yucca filamentosa)는 특이한 모양과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기른다.
이 속의 많은 종들은 그 목질성 줄기와 가시가 달린 잎 때문에 관상용으로 인기가 좋다. 놀리나속(Nolina)과 다실리리온속(Dasylirion)의 일부 종들은 더 긴 꽃대와 좁은 잎을 제외하고는 유카 식물과 비슷하며 이들 역시 재배된다. 줄기가 짧은 다실리리온 아코트리쿰(Dasylirion acotrichum)과 줄기 아래쪽이 부풀어서 병 모양을 이루는 놀리나 레쿠르바타(Nolina recurvata)를 가장 흔히 관상용으로 심는다. 열대성 종류인 코르딜리네 인디비사(Cordyline indivisa), 코르딜리네 아우스트랄리스(C. australis), 코르딜리네 테르미날리스(Cordyline terminalis)의 엽맥이 넓은 붉은 잎을 가진 변종들은 온실과 집안의 화분에 흔히 심는다. 

 

천수란 [Dagger Plant] - Yucca aloifolia

♠ 분포 : 미국, 멕시코, 자마이카
♠ 특징 : 상록 관엽, 관화식물로 5℃정도에서 월동하며 여름에는 충분한 광선이 필요하다.
♠ 꽃 : 6월 ~ 7월

용수과(龍樹科, Didiereaceae) 아룡목(亞龍木屬, Alluaudia)속, 용수(龍樹屬, Didierea)속

수목형의 자웅이체 아룡목속은 마다가스칼에 흔하게 산재해 있는 다육식물로 줄기에 가시가 나 있으나 선인장과와는 관련이 없는 속이다. 또한 복계화속(福桂花屬, Fouquieriea)과 매우 흡사하나 이들 종들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본 속의 식물은 저온에 약해 겨울철엔 보온(10°C이상)이 필요하고, 번식은 주로 삽목에 의해 이루어 진다.

칠현인(七賢人)[]-Alluaudia humberti

♠ 분포 : 마다가스칼 남서 Toliara
♠ 형태 : 줄기에 가시가 돋아나 있으며, 수목형으로 5m 정도까지 자란다.
             둥근 잎은 길이 7~15mm, 폭 5~25mm정도. 가시 밑에 한쌍으로 잎이 나온다.
♠ 광 : 강광~반그늘
♠ 꽃 : 화서는 길이 10cm정도, 꽃은 작으며 숫꽃은 녹색, 암꽃은 흰색이다.
♠ 관수 : 11월부터  3월까지는 매우 건조하게 관리
♠ 번식 : 종자나 삽목

목골룡(木骨龍)[]-Alluaudia montagnacii

♠ 분포 : 마다가스칼 남서 평야
♠ 형태 : 줄기에 2.5cm의 흑색가시가 돋아나 있으며, 수목형으로 12m 정도까지 곧게 자라지만 분주가 발생하진 않는다. 줄기는 아룡목(亞龍木)과 비슷하며, 잎 길이는 15mm 정도
♠ 광 : 강광~반그늘
♠ 꽃 : 숫꽃은 황녹색, 암꽃은 크림색.
♠ 관수 : 11월부터  3월까지는 매우 건조하게 관리
♠ 번식 : 종자나 삽목

아룡목(亞龍木) Alluaudia procera

♠ 이명 : Didierea procera
♠ 분포 : 마다가스칼 남서부 Toliara (내한력) 0°C (자생지 평균온도) 10°C
♠ 형태 : 줄기에 돋아난 강한 가시와 작은 잎을 갖는 다육식물로 줄기 굵기 3~5cm, 높이 18m까지 자란다.
♠ 꽃 : 줄기 끝에서 누르스름한 백색의 꽃이 3m정도 자라야 핀다. 성목이 된후 분화를 한다.
♠ 재배 : 일반적인 관리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다.
♠ 번식 : 종자나 삽목.
♠ 광 : 반그늘. 일조량이 부족하면 줄기가 웃자라 가늘어지고 잎이 떨어진다.

<출처: 비단선인장 http://www.cactus.or.kr/)



블UP! 해주세요.^^ 한RSS에서 구독 Feed Burner RSS-푸르는 날의 엽서 Google에서 구독 위자드닷컴에서 구독
Posted by 愛.隣.如.己.